아이클릭아트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악성 임대인'의 명단이 1천명을 넘어섰다는 소식이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들 중 20~30대가 32%를 차지한다는 점이다. 불과 19세의 임대인이 5억 7천만원의 보증금을 미반환한 사례도 있다. 이는 우리 사회의 부동산 거래 질서가 심각하게 훼손되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젊은 층이 전세사기의 가해자로 등장하는 현상은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제기한다. 우선 이들이 왜 이런 선택을 했는지 깊이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부동산 투기로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왜곡된 인식이 젊은 층까지 파고든 것은 아닌지, 전세금을 단순히 쉽게 구할 수 있는 '자금'으로만 여기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현행 전세 제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도 필요하다. 한국의 전세 제도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독특한 임대차 방식이다. 임차인의 거액 보증금이 사실상 임대인의 영업 자금이나 투자 자금으로 활용되는 구조는 필연적으로 위험을 내포할 수밖에 없다.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 가입 의무화와 같은 단기 대책과 함께, 월세 중심의 임대차 시장 전환과 같은 장기적인 제도 개선도 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특히 우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사태가 우리 사회의 신뢰 기반을 무너뜨리고 있다는 점이다. 1조 9천억원에 달하는 미반환 전세금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이는 내 집 마련의 꿈을 위해 평생 모은 서민들의 자금이며, 한 가정의 미래가 걸린 소중한 돈이다. 이러한 신뢰 붕괴는 결국 임대차 시장 전반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지금까지의 대응이 미흡했음을 인정하고,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임대인 자격 심사 강화, 전세금 에스크로 계좌 의무화 등 실효성 있는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 동시에 부동산을 통한 약탈적 거래 행위에 대한 처벌도 대폭 강화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동산이 투기의 대상이 아닌 주거의 수단이라는 인식을 사회 전반에 확립하는 일이다. 젊은 층마저 전세사기의 유혹에 빠지는 현실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왜곡된 부동산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준다. 이제는 건전한 부동산 거래 질서 확립을 위한 범사회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악성 임대인'의 명단이 1천명을 넘어섰다는 소식이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들 중 20~30대가 32%를 차지한다는 점이다. 불과 19세의 임대인이 5억 7천만원의 보증금을 미반환한 사례도 있다. 이는 우리 사회의 부동산 거래 질서가 심각하게 훼손되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젊은 층이 전세사기의 가해자로 등장하는 현상은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제기한다. 우선 이들이 왜 이런 선택을 했는지 깊이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부동산 투기로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왜곡된 인식이 젊은 층까지 파고든 것은 아닌지, 전세금을 단순히 쉽게 구할 수 있는 '자금'으로만 여기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현행 전세 제도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도 필요하다. 한국의 전세 제도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독특한 임대차 방식이다. 임차인의 거액 보증금이 사실상 임대인의 영업 자금이나 투자 자금으로 활용되는 구조는 필연적으로 위험을 내포할 수밖에 없다.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 가입 의무화와 같은 단기 대책과 함께, 월세 중심의 임대차 시장 전환과 같은 장기적인 제도 개선도 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특히 우려스러운 것은 이러한 사태가 우리 사회의 신뢰 기반을 무너뜨리고 있다는 점이다. 1조 9천억원에 달하는 미반환 전세금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이는 내 집 마련의 꿈을 위해 평생 모은 서민들의 자금이며, 한 가정의 미래가 걸린 소중한 돈이다. 이러한 신뢰 붕괴는 결국 임대차 시장 전반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지금까지의 대응이 미흡했음을 인정하고,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임대인 자격 심사 강화, 전세금 에스크로 계좌 의무화 등 실효성 있는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 동시에 부동산을 통한 약탈적 거래 행위에 대한 처벌도 대폭 강화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동산이 투기의 대상이 아닌 주거의 수단이라는 인식을 사회 전반에 확립하는 일이다. 젊은 층마저 전세사기의 유혹에 빠지는 현실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왜곡된 부동산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준다. 이제는 건전한 부동산 거래 질서 확립을 위한 범사회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