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크루아상, 이탈리아의 파나코타, 독일의 프레첼. 전통적으로 제과 산업은 유럽의 전유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K-베이커리 수출 실적은 이러한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있다. 올 1월부터 11월까지 K-베이커리의 수출액은 4억 4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제과 강국인 유럽과 북미에서 각각 17.8%와 15.4%의 놀라운 성장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성과는 단순한 K-푸드 열풍의 반사이익이 아닌, 체계적인 품질 관리와 현지화 전략의 결실이다. 실제로 전통적인 베이커리 시장인 북미와 유럽에서 각각 1.7배, 1.3배의 성장을 달성했다는 사실은 K-베이커리가 단순한 이색 식품이 아닌 현지 소비자들의 일상적 선택지로 자리 잡았음을 방증한다. 곡물가공품 및 베이커리 분야에서 한국의 수출 순위가 2019년 22위에서 2023년 15위로 상승한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 K-베이커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R&D 투자와 더욱 엄격한 품질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전통적 제과 강국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한국적 특색을 살리면서도 현지 소비자들의 입맛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 개발이 중요하다. 또한 최근의 글로벌 곡물 가격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인 원료 수급 체계 구축도 시급한 과제다. K-베이커리의 성공은 한국 식품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단순히 한류 열풍에 편승하는 것이 아닌, 확고한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세계화의 모습일 것이다. 120개국에 수출되는 K-베이커리 제품이 한국 식품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길 기대한다. 세종일보 toswns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프랑스의 크루아상, 이탈리아의 파나코타, 독일의 프레첼. 전통적으로 제과 산업은 유럽의 전유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K-베이커리 수출 실적은 이러한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있다. 올 1월부터 11월까지 K-베이커리의 수출액은 4억 4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제과 강국인 유럽과 북미에서 각각 17.8%와 15.4%의 놀라운 성장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성과는 단순한 K-푸드 열풍의 반사이익이 아닌, 체계적인 품질 관리와 현지화 전략의 결실이다. 실제로 전통적인 베이커리 시장인 북미와 유럽에서 각각 1.7배, 1.3배의 성장을 달성했다는 사실은 K-베이커리가 단순한 이색 식품이 아닌 현지 소비자들의 일상적 선택지로 자리 잡았음을 방증한다. 곡물가공품 및 베이커리 분야에서 한국의 수출 순위가 2019년 22위에서 2023년 15위로 상승한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 K-베이커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R&D 투자와 더욱 엄격한 품질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전통적 제과 강국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한국적 특색을 살리면서도 현지 소비자들의 입맛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 개발이 중요하다. 또한 최근의 글로벌 곡물 가격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정적인 원료 수급 체계 구축도 시급한 과제다. K-베이커리의 성공은 한국 식품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단순히 한류 열풍에 편승하는 것이 아닌, 확고한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세계화의 모습일 것이다. 120개국에 수출되는 K-베이커리 제품이 한국 식품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길 기대한다.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