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폭우로 인해 물에 담긴 다리. 세종일보 DB

장마가 오는 25일 온 전국을 감싸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반도 전체가 동시에 장마에 진입하는 경우는 2021년 이후 2년 만에, 또한 역사적으로 보면 7번째 상황이다.

22일 기상청에 따르면, 타이완 북부와 일본 남부 해상에서 정체하던 정체전선이 북상하면서 25일부터 27일까지 전국에 장마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 강수량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기상청 관계자는 "많은 양의 덥고 습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당량의 비가 내릴 것"이라고 전했다.

장마의 시작은 제주도와 남부 지역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고, 중부 지역은 정체전선 상에서 발달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25일 오전부터 비가 시작되어, 그날 오후부터 26일까지는 중부 지역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릴 것이다.

이렇게 내리는 장맛비가 적지 않은 양이 예상되므로, 저지대와 농경지에서는 침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계곡과 하천에서는 물이 갑작스럽게 불어날 수 있다. 또한 하수도와 우수관, 배수구에서 물이 역류하는 가능성도 있어서, 관련 안전 사고 대비가 필요하다.

장마는 우선 27일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28일부터 다시 제주에서 북상하는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30일까지 비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달 말까지 비가 내릴 것 같다가 그칠 것 같다가 하는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장마가 전국에 동시에 시작된 경우는 1973년, 1980년, 1983년, 2007년, 2019년, 2021년 등 총 6차례 있었다. 평년 장마 시작일에 비해 제주는 6일, 남부는 2일 늦게 시작된 것으로, 평년에 비해 장마 시작이 다소 늦어진 측면이 있다.

하지만, 전국 동시 장마 시작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기상청 관계자는 "저위도상 열대 요란의 움직임과 정체전선의 북상 정도 및 강도 등 변동성이 여전히 크기 때문에 확정짓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한, 비구름의 위치를 예측하는 수치모델의 편차가 남북으로 600㎞에 달해 정체전선의 정확한 위치 예측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기상청은 25일 전후로 장마의 세부적인 예보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더욱 상세한 장마 전망과 주민들의 안전 대비를 위한 권고사항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