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추미애 의원이 공개한 방첩사령부의 계엄사-합수본 운영 참고자료 문건 
8일 추미애 의원이 공개한 방첩사령부의 계엄사-합수본 운영 참고자료 문건 

국가의 공식 문건에 여전히 남아있는 편향된 시각은 우리 현대사의 아픈 상처를 되풀이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비상계엄 관련 문건에서 제주4·3과 부마민주항쟁이 각각 '폭동'과 '소요사태'로 표기된 사실은 우리 사회가 아직 역사적 진실을 온전히 마주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제주4·3은 단순한 폭동이 아니다. 정부의 공식 진상조사보고서에서도 인정했듯이, 이는 국가폭력의 아픈 역사이며 수많은 무고한 도민들이 희생된 비극적 사건이다. 부마민주항쟁 역시 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외친 시민들의 정당한 저항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을 왜곡된 용어로 폄하하는 것은 피해자들의 고통을 재차 무시하는 처사이며, 동시에 민주주의의 근본 가치를 훼손하는 반민주적 행위다. 특히 현 정부 관련 문건에서 여전히 과거 독재 정권의 관점을 답습하고 있다는 점은 깊은 우려를 자아낸다.

2003년 제주4·3특별법, 검찰의 당시 군사재판 불법성 인정 등 우리 사회는 이미 역사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제는 국가기관들이 진정한 화해와 치유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 과거의 관점에 갇혀 있는 역사 인식을 과감히 벗어던지고, 피해자들의 아픔을 진심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민주주의는 단순한 제도가 아니라 서로의 아픔을 공감하고 존중하는 끊임없는 실천이다. 우리는 역사의 상처를 덮으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직면하고 치유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진정한 국민 통합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