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29일 5월 31일부터 6월 11일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일본에 통보했다. 이는 탄도 미사일을 이용한 군사 정찰 위성 발사의 징조로 보이며, 이에 대해 한·미·일 3개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SC)의 결정을 위반하는 불법 행동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번 통보에 따르면, 북한은 발사기간 동안 해상에 위험 구역을 설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이를 국제해사기구(IMO)에도 알렸다. 일본 NHK는 북한이 발사 잔해의 낙하가 예상되는 해역을 통보하면서 항행경보를 발행하고 선박에 주의를 당부하였다고 보도했다.

일본의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이번 발사에 대한 회견에서 "북한이 인공위성이라고 주장하더라도, 이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로서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반된다"고 지적했다. 기시다 총리는 또한 일본 영역에 잔해가 낙하할 경우에 대비해 하마다 야스카즈 방위상에 파괴조치를 명령하였다고 밝혔다.

국가안보실은 조태용 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개최했다. 한국의 외교부는 북한의 이번 발사 계획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발사를 금지하는 유엔 결의를 위반하는 심각한 행위라며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또 미국 국무부는 북한의 발사 계획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며, 북한에 추가적인 불법 행위를 중단하도록 요청했다.

이번 발사는 북한의 서해 위성 발사장에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곳은 2012년과 2016년에 북한이 은하 3호, 광명성 4호를 발사한 곳이다. 최근 위성사진 분석에 따르면, 북한은 이 발사장에서 기존 발사대에서 약 2.7km 떨어진 곳에 새 발사대를 건설 중이다. 이는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 North'가 보도한 내용이다.

북한은 이번 발사 계획을 통해 1단 로켓은 동창리에서 더 가까운 서해에, 2단 로켓은 더 먼 필리핀 루손 동쪽 해상에 낙하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은 이번 발사체의 성능이 과거에 비해 향상됐으며, 로켓의 총 추력이 더 커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의 이번 위성 발사 통보는 한국이 자체 개발한 로켓 '누리호(KSLV-II)'를 성공적으로 발사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루어진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사가 북한의 미사일 기술 발전을 증명하는 군사적 행동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우려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제적 대응을 구상하고 있다. 이번 발사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과 위성 기술의 발전을 암시하는 것이라면, 이는 국제 안보에 더 큰 도전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