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공무원의 육아휴직 혜택이 대폭 강화되면서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공직사회의 실질적 지원이 될지 주목된다. 이번 지방공무원 임용령 개정안은 △육아휴직 전 기간 경력으로 인정 △수당 지급 한도를 인상 등을 통해 지방 공무원들이 일과 가정의 균형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번 정책 개편은 경력 단절에 대한 우려를 낮추고 공무원의 출산과 양육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개정안에 따르면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공무원은 휴직 6개월까지 봉급의 100%를 수당으로 지급받으며, 이후에는 80%를 지원받게 된다. 기존에는 육아휴직 수당의 상한액이 150만 원에 머물렀으나, 이번 개정을 통해 최대 250만 원까지 수령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소득 감소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고, 자녀를 양육하는 지방 공무원들이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육아휴직을 통해 경력 인정 상한선에 제한이 있었던 기존 제도에서 자녀의 수와 관계없이 육아휴직 전 기간을 경력으로 인정함으로써 경력 누락에 대한 불안을 해소했다.

이번 개정안은 자녀 양육을 위한 전출 요건 완화 조치도 포함하고 있어, 공무원이 자녀 양육을 위해 필요할 경우 기존의 전출 제한 기간을 적용받지 않고도 타 기관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제도적 완화는 육아와 직무를 병행하는 공무원들에게 보다 유연한 인사 제도를 제공하며, 공직사회가 일과 가정 양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범죄 피해자 보호 조치도 강화되어 피해 공무원은 자치단체 내 파견, 전보에서 나아가 임용권자의 승인 하에 다른 기관으로 전출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러한 변화는 피해 공무원의 업무 복귀와 심리적 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지방 공무원 인사제도의 변화는 저출산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육아휴직 및 근무시간 단축 수당의 지급 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공직 내 가족 친화적 문화 조성과 일-가정 양립 환경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지방 공무원의 경제적 안정과 육아로 인한 심리적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하며, 장기적으로는 출산 친화적 환경 조성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육아 지원이 강화되면 일-가정 양립을 원하는 젊은 세대 공무원들의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고, 공직사회 내 인재 유출을 막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정책 변화는 대체 인력 수요 증가와 함께 예산 부담을 동반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간의 육아휴직 혜택 격차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어 형평성 문제 역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개정안이 저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유연성과 장기적 예산 계획을 보완할 방침이다.

지방 공무원의 육아 지원 강화 정책은 공공 부문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일-가정 양립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정부는 이번 개정안을 발판으로 출산 친화적 정책을 민간 부문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개선을 통해 저출산 문제 해결과 공직사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방침이다. /윤소리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