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국내 반려동물 사료 시장에 큰 변화가 예고됐다. 농촌진흥청이 발표한 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이 2026년 1월부터 시행되면서다. 이번 기준은 미국사료관리협회(AAFCO)와 유럽펫푸드산업연합(FEDIAF)의 지침을 참고하되, 국내 실정에 맞춰 개발됐다. 새 영양표준은 반려동물의 생애주기별로 세분화됐다. 개는 성견 38종, 성장기와 번식기에 40종의 영양소 기준이 적용되며, 고양이는 성묘 41종, 성장기와 번식기에 43종의 영양소 기준이 필요하다. 이번 표준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전사료' 기준의 도입이다. 제조업체들은 압출성형 과정에서 120~180°C 사이의 온도로 가공하는 등 정교한 공정 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원재료 선택부터 분말화, 혼합, 압출성형, 건조, 코팅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면서도 소화율은 높여야 한다. 업계는 이번 조치가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1조 3천억 원 규모로 추산되는 국내 펫푸드 시장이 한층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기준으로 제품 품질이 상향 평준화되면 수출 기회도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소비자들의 신뢰도 높아질 전망이다. 사료 포장에 영양 정보가 더 명확히 표시되고, 생애주기별로 특화된 제품을 고를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완전사료 기준을 충족한 제품은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 선택이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업계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새 기준에 맞추려면 연구개발 투자와 설비 보완이 불가피한데, 중소업체들엔 부담이 될 수 있어서다. 충북 지역의 한 중소업체 대표 Q(55)씨는 "영양 표준의 설정으로 품질 향상은 환영하지만, 급격한 변화는 시장 진입장벽을 높일 수 있어 순차적 도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영양표준 도입이 국내 반려동물 사료 산업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 제품 다양화와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장기적으로는 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수입 사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현 상황에서 국산 사료의 품질 향상은 시장 구도 변화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윤소리 기자 윤소리 기자 tto250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국내 반려동물 사료 시장에 큰 변화가 예고됐다. 농촌진흥청이 발표한 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이 2026년 1월부터 시행되면서다. 이번 기준은 미국사료관리협회(AAFCO)와 유럽펫푸드산업연합(FEDIAF)의 지침을 참고하되, 국내 실정에 맞춰 개발됐다. 새 영양표준은 반려동물의 생애주기별로 세분화됐다. 개는 성견 38종, 성장기와 번식기에 40종의 영양소 기준이 적용되며, 고양이는 성묘 41종, 성장기와 번식기에 43종의 영양소 기준이 필요하다. 이번 표준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전사료' 기준의 도입이다. 제조업체들은 압출성형 과정에서 120~180°C 사이의 온도로 가공하는 등 정교한 공정 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원재료 선택부터 분말화, 혼합, 압출성형, 건조, 코팅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면서도 소화율은 높여야 한다. 업계는 이번 조치가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1조 3천억 원 규모로 추산되는 국내 펫푸드 시장이 한층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기준으로 제품 품질이 상향 평준화되면 수출 기회도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소비자들의 신뢰도 높아질 전망이다. 사료 포장에 영양 정보가 더 명확히 표시되고, 생애주기별로 특화된 제품을 고를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완전사료 기준을 충족한 제품은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 선택이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업계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새 기준에 맞추려면 연구개발 투자와 설비 보완이 불가피한데, 중소업체들엔 부담이 될 수 있어서다. 충북 지역의 한 중소업체 대표 Q(55)씨는 "영양 표준의 설정으로 품질 향상은 환영하지만, 급격한 변화는 시장 진입장벽을 높일 수 있어 순차적 도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영양표준 도입이 국내 반려동물 사료 산업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 제품 다양화와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장기적으로는 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수입 사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현 상황에서 국산 사료의 품질 향상은 시장 구도 변화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윤소리 기자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