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심 곳곳에서 공유자전거가 아무렇게나 버려지듯 방치되면서 시민들의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 자료를 보면 올해 9월까지 접수된 민원이 7212건. 작년보다 2.5배나 늘었다.

특히 보행자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좁은 보도에 널부러진 자전거를 피하려다 사고가 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휠체어나 유모차를 끄는 시민들은 더욱 큰 불편을 겪고 있다. 국민신문고에는 이런 안전사고 사례가 계속해서 접수되는 중이다.

결국 이 부담은 고스란히 지자체 몫이 됐다. 방치된 자전거를 치우고 정비하느라 인력과 예산이 낭비되는데, 수거해간 자전거는 또다시 아무 데나 버려지기 일쑤다. 공유자전거 업체들도 재배치 비용이 만만찮아 결국 요금 인상을 검토하는 상황까지 왔다.

해외는 이미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중국 항저우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자전거를 추적하고,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은 체계적인 주차시설로 방치 문제를 해결했다.

국내에서도 변화가 시작됐다. 국회에는 공유자전거 무단 방치를 금지하는 법률 개정안이 올라와있고, 국민권익위는 관계 기관에 대책 마련을 권고했다. GPS와 IoT 기술 도입, 지정 구역 반납 의무화 등이 거론되지만 실효성 있는 해결책 마련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윤소리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