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가 났었는데, 유독가스가 지상까지 올라와 두려웠어요" 

지난해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화재 현장에서 인근 주민 A(43)씨가 겪은 일이다. 밀폐된 지하공간에서 발생하는 전기차 화재가 소방당국의 악몽으로 떠오르자, 조달청이 해결책을 내놓았다.

앞으로 조달청은 공공건물은 설계단계부터 전기차 충전시설을 지상에 두도록 유도하고, 화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혁신 제품을 발굴·보급하는데 힘쓰기로 했다. 

전기차 충전 중 발생하는 화재 문제는 소방당국과 충전소 운영자들에게 큰 도전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밀폐된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전기차 화재는 진압이 어렵고, 유독가스의 발생으로 인해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달청은 공공건물 내 전기차 충전 방식을 지상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규정을 발표했다. 지상 충전은 열기와 연기가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화재의 확산을 막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된다. 한국소방안전원의 연구에 따르면 지상 주차장에서의 전기차 화재 진압 시간은 평균 2시간인 반면, 지하에서는 7시간에 달해 차이가 현저하다.

새로운 규정에서는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소화 시스템도 도입된다. 그중 '배터리 관통 소화시스템'은 배터리 팩 내부로 직접 소화액을 주입해 화재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는 기술로, 기존 방식에 비해 소화액 사용량을 80% 줄이면서도 더 효율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화재 발생 시 진압 속도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실용성이 높다.

해외에서도 전기차 화재에 대비한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모든 전기차 충전소에 인공지능 화재감지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해, 배터리 온도가 위험 수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충전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일본은 충전소마다 전담 소방관을 배치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화재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국내 전기차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작년 말 기준으로 등록된 전기차 대수는 35만 대를 넘었다. 전기차가 대세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전기차 화재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달청의 이번 조치는 공공부문에서 전기차 안전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전기차 화재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소리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