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핼러윈과 같은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행사를 앞두고 다중운집인파 안전관리 대책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2022년 이태원 참사 이후 군중 밀집에 따른 압사 사고의 위험성을 고려해, 이번 대책은 더욱 철저히 준비되었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25일~11월 1일 핼러윈 대비 특별대책기간을 운영하며, 서울 이태원, 홍대, 부산 서면 등 인파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12개 지역에 현장 상황관리관을 파견해 실시간 군중 밀집도와 안전 상황을 관리할 예정이다. 또한 전국 27개 지역에서 경찰, 소방 등과 협력해 군중 관리를 강화한다. 이번 대책은 인파 밀집도가 높은 곳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비상상황 대응체계를 점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22년 이태원 참사와 같은 압사 사고가 우리나라에서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일본에서는 2001년 아카시 시내 여름축제에서, 중국에서는 2014년 상하이 새해맞이 행사에서 각각 대규모 인파 사고가 일어났다. 이러한 사고들의 공통된 원인은 좁은 공간에 과도한 인파가 몰리고, 이로 인한 혼잡 관리 실패에 있다. 

안양에 거주하는 대학생 A(22)씨는 "핼러윈 당일 이태원에 갔다가 참사를 목격한 뒤 사람이 많은 곳에 가면 종종 무서워 질 때가 있었다"며 "정부의 적절한 조치와 개인의 안전 의식 강화로 사고가 줄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 역시 이태원 참사를 교훈 삼아 관련 법령과 대책을 강화해왔다. 올해부터 '다중운집인파 사고'를 사회재난으로 규정하고, 공연장이나 대규모 점포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재난관리주관기관을 지정했다. 뿐만 아니라 각 부처가 소관 시설별로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러한 변화는 군중 밀집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관리를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군중 관리 기술도 진화하고 있다. CCTV 영상 분석과 AI를 사용해 군중의 밀집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위험 행동을 사전에 예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술은 현장 상황을 더 정확하게 모니터링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핼러윈과 같은 대규모 행사에서 군중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실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현장 관리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가 필수적이다. /윤소리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