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클릭아트 앞으로 30년의 지방행정체제 개편은 지방 소멸 위기와 인구 감소라는 도전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인식된다. 행정안전부는 이와 같은 변화를 반영해 새로운 지방행정체제를 모색 중이며, 대구·경북을 시작으로 다음달 1일 충청권, 8일 호남권, 13일 경남권, 22일 중부권 등 전국적인 의견 수렴을 진행하고 미래지향적인 권고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러한 논의는 1990년대 지방분권일괄법을 시행한 일본, 주 단위의 자치권이 발달한 독일 등 지방 자치와 균형발전을 실현한 다른 국가들과 같이 지역의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현재 대구경북특별시를 목표로 하는 행정통합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통합은 일본 도쿄도를 벤치마킹한 모델로, 초광역 행정체제를 구축하여 지방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남의 통합이 논의되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미비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각 권역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행정체제를 모색하고 있다. 지방행정체제 개편은 단순한 행정구역 조정에 그치지 않는다. 디지털 행정과 스마트시티 기술의 발전은 지방행정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과 업무 자동화를 통해 행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맞춤형 공공서비스와 실시간 대응 체계를 통해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물리적 경계를 넘어 가상의 행정구역을 재정의하고,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대구에 거주하는 취업준비생 B(26)씨는"행정구역이 통합되면 큰 지자체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만나 새로운 일자리도 많이 생길 것 같다"며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대전의 직장인 A(28)씨는 "행정체제 개편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적 없다"면서도 "기술이 많이 발전한 만큼 물리적인 경계를 재정립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윤소리 기자 윤소리 기자 tto2504@daum.net 다른기사 보기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개의 댓글 회원로그인 작성자 비밀번호 댓글 내용입력 댓글 정렬 최신순 추천순 답글순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닫기 더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닫기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본문 / 400 비밀번호 닫기 내 댓글 모음 닫기 주요기사
아이클릭아트 앞으로 30년의 지방행정체제 개편은 지방 소멸 위기와 인구 감소라는 도전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인식된다. 행정안전부는 이와 같은 변화를 반영해 새로운 지방행정체제를 모색 중이며, 대구·경북을 시작으로 다음달 1일 충청권, 8일 호남권, 13일 경남권, 22일 중부권 등 전국적인 의견 수렴을 진행하고 미래지향적인 권고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러한 논의는 1990년대 지방분권일괄법을 시행한 일본, 주 단위의 자치권이 발달한 독일 등 지방 자치와 균형발전을 실현한 다른 국가들과 같이 지역의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현재 대구경북특별시를 목표로 하는 행정통합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통합은 일본 도쿄도를 벤치마킹한 모델로, 초광역 행정체제를 구축하여 지방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남의 통합이 논의되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미비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각 권역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행정체제를 모색하고 있다. 지방행정체제 개편은 단순한 행정구역 조정에 그치지 않는다. 디지털 행정과 스마트시티 기술의 발전은 지방행정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과 업무 자동화를 통해 행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맞춤형 공공서비스와 실시간 대응 체계를 통해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물리적 경계를 넘어 가상의 행정구역을 재정의하고,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대구에 거주하는 취업준비생 B(26)씨는"행정구역이 통합되면 큰 지자체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만나 새로운 일자리도 많이 생길 것 같다"며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대전의 직장인 A(28)씨는 "행정체제 개편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적 없다"면서도 "기술이 많이 발전한 만큼 물리적인 경계를 재정립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윤소리 기자
당신만 안 본 뉴스 한화 불꽃축제 30일 개최…대전시, 방문객 안전 관리 강화 주민이 채우는 폐교, 지역이 키우는 공간으로 만든다 [사설] 일할 세대가 떠난다 ‘APEC 2025 미래들의 수다’, 청년 시선으로 본 인구위기 어린이 환경교육, 뮤지컬로 배우는 탄소중립 외로움 대신 연결로… 청년 위한 온라인 상담 시범 운영 반복되는 SPC 사고… 노동부 "노동강도·건강영향 재진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