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와 울산광역시가 추진한 적극 행정이 지역 경제와 주민 삶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인천시는 60년간 유지되던 강화도 서해의 조업한계선을 조정해 어장을 대폭 확대했다. 이로 인해 강화도 어민들은 더 넓어진 어장에서 어획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어업 수익도 크게 증가했다. 울산시 또한 미사용 철도 부지를 공장 용지로 전환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이들 정책은 지역 경제를 살리는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는 단순히 어장 확장이나 부지 전환에 그치지 않는다. 인천과 울산이 보여준 사례는 지방 정부가 얼마나 복잡한 정책 과정을 거쳐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강화도 어장 확장만 해도, 60년간의 조업한계선을 조정하기까지 많은 이해관계자와의 조율과 협의가 필요했다. 이 과정에서 인천시는 어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중앙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상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정책 추진 과정은 단순한 규제 완화를 넘어, 지역 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울산의 철도 부지 전환 사례 역시 마찬가지다. 운영이 중단된 철도 부지를 공장 용지로 바꾸기까지는 국토부와의 협력, 지역 기업들의 요구 반영, 경제 활성화를 위한 투자 유치 등 복잡한 절차가 뒤따랐다. 울산시는 이 과정에서 국토부의 폐선 고시를 이끌어내고, 2천 4백억 원 이상의 투자를 계획하는 등 적극적인 행정을 펼쳤다. 이로 인해 지역 경제는 새로운 활력을 얻었고, 일자리 창출과 함께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도 높아졌다.

이러한 정책의 장기적 영향도 주목할 만하다. 인천의 어장 확대는 단순히 어민들의 수익 증대에 그치지 않고, 지역의 수산업 발전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넓어진 어장은 어종의 다양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어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향후 수산업 관련 인프라 확충과 어민 지원 정책을 통해 지역 경제를 더욱 견고하게 다질 계획이다.

울산의 경우, 공장 용지로 전환된 철도 부지는 지역 경제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 공장 유치로 인한 일자리 창출과 함께, 관련 산업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울산시는 이를 기반으로 한 추가적인 경제 활성화 전략을 마련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지원, 지역 경제 순환 구조 강화 등의 후속 조치를 계획하고 있다.

이처럼 인천과 울산의 사례는 단순한 규제 완화가 아니라,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장기적인 전략과 연계된 정책임을 보여준다. 각 지역 정부의 적극 행정은 지역 주민의 삶을 개선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지자체들이 참고할 만한 모범 사례로 자리 잡고 있다. /윤소리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