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구간별 평균 연봉 증가율. 리더스인덱스 제공
연봉 구간별 평균 연봉 증가율. 리더스인덱스 제공

국내 주요 기업의 평균 연봉이 지난 3년 동안 19.1% 상승하여 1억원에 가까워졌다. 1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의 연구에 따르면, 고액 연봉 기업에서 연봉 상승률이 낮은 기업보다 높았다.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66개 기업의 최근 3년간 평균 연봉 추이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 지난해 평균 연봉은 9590만원으로 2019년(8050만원)보다 19.1%(1540만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액 연봉 기업일수록 평균 연봉 상승률이 더 높았다. 지난해 평균 연봉이 '1억2000만 원 이상'인 기업 59곳의 3년간 평균 연봉 상승률은 37.7%로, '8000만 원 이상 1억2000만 원 미만' 기업 151곳에서는 23.4%, '8000만 원 미만' 기업 138곳에서는 12.7%로 상승했다.

연봉 격차는 대기업 내에서도 심화되고 있으며,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 이상인 기업은 116곳으로 2019년 46곳보다 2.5배 늘어났다.

업종별로는 증권업의 평균 연봉이 가장 크게 상승했다. 18개 증권사의 평균 연봉은 2019년 1억549만원에서 지난해 1억4538만원으로 37.8% 상승했다. 이어 상사 업종 5개 기업의 평균 연봉이 2019년 8244만원에서 지난해 1억490만원으로 27.2% 상승했다.

코로나 기간 운임 상승으로 인해 운송업종 직원 보수도 크게 올랐다. 2019년 6531만원에서 지난해 8247만원으로 26.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3년간 평균 연봉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기업은 DL그룹의 지주사인 DL㈜로, 이 회사의 평균 연봉은 2019년 8100만원에서 지난해 2억100만원으로 148.1% 급상승했다. 그 다음으로 HMM(102.4%↑), 이베스트투자증권(101.1%↑), 드림텍(92.3%), 크래프톤(91.2%↑)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연봉 상승의 원인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경기 회복과 코로나 19로 인한 디지털 환경의 급속한 변화,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인력 확보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됐다.

연봉 상승률이 높은 기업들은 직원들에게 보다 많은 보상을 주어 성과와 몰입도를 높이려는 기업문화와 인재 유치에 집중하고 있다고 관측된다. 하지만 이로 인해 기업 간 연봉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어, 앞으로의 시장 흐름과 기업들의 대응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경제계 한 관계자는 "앞으로 기업들은 연봉뿐만 아니라 직원들의 복지와 업무환경 개선, 역량 개발 지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력 유치와 경쟁력 확보에 더욱 노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와 함께 기업들은 지속적인 성장과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경영 전략과 인사 정책에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