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대통령실 청사 전경. 대통령실 제공
용산 대통령실 청사 전경. 대통령실 제공

대통령실은 11일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국가안보실 도감청 의혹에 대해 "터무니 없는 거짓 의혹임을 명백히 밝힌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이 '용산 대통령실 이전'과 관련해 도감청 의혹을 제기한 것에 대해 "진위 여부를 가릴 생각도 없이 국민을 선동하기에 급급하다"며 규탄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공식 입장을 전하며, "현재 용산 대통령실은 군사시설로서, 과거 청와대보다 훨씬 강화된 도감청 방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용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어서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안보실 등이 산재해있던 청와대 시절과 달리, 현재는 통합 보안시스템과 전담 인력을 통해 '철통 보안'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통령실은 민주당이 제기한 의혹에 대해 "북한의 끊임없는 도발과 핵 위협 속에서 한미 동맹을 흔드는 자해행위이자 국익침해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한미 정보 동맹을 강화하고 발전시켜야 할 중차대한 시점에 민주당의 외교 자해행위에 대해서는 국민들께서 판단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대통령실은 미국의 도감청 정황이 담긴 기밀문건에 대해 양국 국방장관이 "해당 문건의 상당수가 위조됐다"는 사실에 견해가 일치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굳건한 '한미 정보 동맹'을 통해 양국의 신뢰와 협력체계를 보다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전날 관련 의혹을 제기하며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때문에 생긴 보안 사고"와 "대통령실 졸속 이전 때부터 우려됐다" 등의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이러한 주장들을 강력하게 부인하며, 거짓 정보와 허위 주장에 기반한 선동이라고 반박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도감청 의혹 사건이 한미 동맹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양국 간의 정보 공유와 협력을 위해 더욱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미 양국은 앞으로도 이러한 사안에 대해 밀착한 협력과 정보 교류를 통해 국가 안보와 국익을 지키는 데 힘쓸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내 여론은 이번 도감청 의혹 사건에 대한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대통령실의 보안 시스템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국가 안보에 미칠 수 있는 심각한 영향을 우려하는 반면, 다른 일부에서는 민주당의 선동과 거짓 주장이 국익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비판하고 있다.

앞으로 대통령실과 민주당 간의 갈등이 어떻게 진행될지, 그리고 이 사건이 한미 동맹과 국내 정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