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MZ세대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보장되는 기업을 선호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월급과 정년보장보다 개인의 삶을 중시하는 인식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됐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20~30대 8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응답자 중 36.6%가 워라밸 보장 기업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두 번째로 선호하는 기업은 월급과 성과보상체계가 잘 갖추어진 기업으로 29.6%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안정적으로 오래 일할 수 있는 기업(16.3%), 기업과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높은 기업(10.4%), 기업 문화가 수평적이고 소통이 잘 되는 기업(3.8%),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기업(3.3%)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또한 MZ세대는 소통형 리더십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통형 리더십은 직원과 함께 고민하고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해 의사결정을 하는 리더십을 뜻하는데, 77.9%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반면 카리스마형 리더십(13.9%)과 위임형 리더십(8.2%)은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를 위해 MZ세대들은 기업 내 조직원 간 소통 강화(37.2%)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적극적 투자 및 일자리 창출(29.7%), 좋은 제품과 서비스 생산(24.7%), ESG 적극 실천(5.7%), 기업 역할에 대한 홍보(2.7%) 순으로 의견을 제시했다.

MZ세대와 적극적인 소통 행보를 보이는 젊은 경영자들에 대해서는 70.2%의 응답자가 긍정적 평가를 내리는 반면, 부정적 평가는 7.9%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를 통해 MZ세대와 소통하는 젊은 경영자들의 활동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MZ세대들은 기업의 전통적인 역할뿐 아니라 구성원 간 소통을 중시한다”며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소통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