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최근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도민들을 위해 정부 지원에 더해 추가적인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2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호우 피해 특별 지원 대책을 상세히 밝혔다.

이번 집중호우로 충남 지역 5개 시군에서 총 1452억 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공공시설 929건의 피해를 비롯해 농경지 519㏊유실, 농작물 1272㏊의 피해 등 광범위한 손실이 발생했다.

김 지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도민들의 빠른 일상 복귀와 피해 복구를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히며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주택 피해와 관련해 김 지사는 "정부의 지원 외에 피해액 전액 지원을 원칙으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파 주택의 경우 "적어도 집 한 채는 다시 마련할 수 있도록 추가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침수로 사용할 수 없게 된 전자제품에 대한 지원과 임시주거용 조립주택, 공공임대주택 지원 계획도 밝혔다.

농업 분야에서는 영농시설과 농작물 피해 복구 지원금을 실제 피해액 수준으로 높이기로 했다. 김 지사는 "정부 지원에 더해 도에서 올해에도 농업인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차등을 두되, 무보험 농가에도 해당 작물 복구비를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소상공인 지원도 강화된다. 침수 피해를 입은 957개 소상공인에게는 정부의 재난지원금 300만 원에 더해 도 재해구호기금 20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김 지사는 "이번 수해로 인한 특별재난지역의 공공·사유시설 복구에 총 2193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라며, "특히 주택 및 농업시설 피해에는 정부 지원금 152억 원 외에도 도에서 별도로 100억 원 가량을 추가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김 지사는 최근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정부에 특별 지원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근본적인 수해 피해 예방을 위해 배수펌프장 등 홍수 방지 시설에 대한 집중 투자와 과감한 예산 반영을 건의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김 지사는 "장마에서는 벗어났으나 폭염으로 인한 피해 발생 우려가 크다"며 도민들의 안전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영준 기자

저작권자 © 세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