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억 투입, 한국형 ARPA-H 첫 프로젝트 발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6일 '한국형 ARPA-H 추진단' 개소식을 개최하고 2024년도에 신규로 추진하는 한국형 ARPA-H의 첫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보건안보와 복지·돌봄 분야의 국가 난제 해결을 위한 3개 과제로, 향후 5년간 총 550억 원의 연구비가 지원될 예정이다.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미국의 보건의료 분야 도전·혁신형 연구개발체계인 ARPA-H를 벤치마킹한 임무중심형 R&D 사업으로, 2024년부터 2032년까지 9년간 총 1조 1,628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계획이다.
이번에 발표된 3개 프로젝트는 백신 초장기 비축 기술 개발(STOREx), 백신 탈집중화 생산시스템 구축(DeCAFx), 근감소증 멀티모달 치료기술 개발(HAPPY)이다.
STOREx 프로젝트는 현재 3년 수준인 백신 보관 기간을 10년 이상으로 연장하는 기술을 개발하며, DeCAFx는 소규모·이동형 백신 생산 모듈을 개발해 필요 지역에서 신속한 백신 생산·공급을 실현한다.
HAPPY 프로젝트는 노화성 근감소증의 근본적 치료를 위한 복합적 치료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프로젝트들은 과감한 도전을 통해 국가 난제를 해결하고 의료·건강 서비스의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프로젝트 관리자(PM) 중심의 유연한 과제 관리와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 조성이 특징이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우리의 바이오헬스 기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첫 단추"라며 "사장되는 연구가 아니라 변화를 가져오는 연구, 우리의 핵심 경쟁력이 될 기술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구개발과제 공고는 26일부터 8월 26일까지 진행되며 9월 중 연구개발기관을 선정하고 연구를 개시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누리집,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미국의 ARPA-H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혁신적 연구개발 체계로, 바이오헬스 분야의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설계되었다. 미국의 ARPA-H는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혁신적인 성과를 이루어냈다. 예를 들어, ARPA-H는 2023년에 골관절염을 위한 조직 재생 혁신 프로그램인 NITRO를 시작했고, 암 관련 첫 프로그램인 정밀 외과적 개입(PSI)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바이든 행정부의 'Cancer Moonshot' 이니셔티브와 연계되어 있다 (ARPA-H).
또한, ARPA-H는 2024년 1월 'HEROES' 프로그램을 출범시켜 예방 가능한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특히 소외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예방 의료 자원을 투자하여 건강 격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이와 같이 미국의 ARPA-H는 고위험, 고보상의 혁신적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단기간 내에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한국형 ARPA-H도 이를 벤치마킹하여 비슷한 성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유연한 과제 관리와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를 바탕으로 국가 난제를 해결하고 의료·건강 서비스의 혁신적 변화를 목표로 한다.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은 현재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번 프로젝트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할 경우, 한국은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바이오헬스 분야의 연구개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관련 법안이나 정책적 변화를 통해 연구개발 환경을 개선하고,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 조성을 통해 혁신을 촉진할 방침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연구개발 제도의 변화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한국의 바이오헬스 연구개발 역량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