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뷰티 글로벌 도약 위한 체계적 지원 방안 마련
24일 한국의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이 발표됐다. 관련 정부 부처들이 협력하여 중소·벤처기업을 집중 육성하고, 해외 수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을 마련했다. 또한 화장품 업계 간의 협약을 통해 민간과 정부가 협력하고 상생을 도모하기로 했다.
이번 방안은 K-뷰티 유망기업 발굴·육성, 해외 수출 규제 대응, K-뷰티 생태계 레벨업(Level-up)을 목표로 한다. 특히 K-뷰티의 수출이 증가하며 올해 상반기 중소기업이 전체 화장품 수출의 63%를 차지했고 전년 동기 대비 30.8% 증가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를 통해 국내 화장품 업계에 활발한 생태계가 구축되었고, 글로벌 플랫폼사들도 국내 제품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구체적인 지원 방안으로는 민간의 전문성과 인프라를 활용하여 K-뷰티 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며, 이들과 협업하여 수출 유망기업을 발굴하고 마케팅과 수출 전략을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또한 화장품 수출 규제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내 GMP 기준을 국제 기준(ISO)과 조화시키고, 안전성 평가 제도를 도입하여 화장품 안전관리 지원 체계를 강화한다. 정책 자금, 스마트 공장, R&D 등을 강화하여 혁신 제품을 신속하게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K-뷰티 네트워크론'을 신설하여 혁신 제품의 소량 생산 시설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대기업 대신 인디 브랜드의 급격한 성장을 강조하며 중소기업이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공·민간 협력을 통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식약처와 중기부 간의 업무 협약을 통해 'K-뷰티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이 추진되며, 화장품 업계 간담회를 통해 정책 내용을 공유하고 업계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K-뷰티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출 확대와 혁신 제품 개발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또한 각 부처의 역할을 명확히 하여 식약처와 중기부 외에도 관련 부처들이 협력해 K-뷰티 산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책 추진을 담당하는 주요 인물과 부서를 통해 기업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국제 기준(ISO)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계획도 함께 마련된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