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도전과 협력…2030 세대의 북한인권 운동
북한인권 운동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90년대 말부터 시작된 이 운동이 이제는 2030 세대의 참여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통일부가 주최하는 '2030 북한인권 활동가 대상 워크숍'(7월 24~25일)이다.
1세대 활동가들의 헌신으로 시작된 북한인권 운동은 이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번 워크숍에서 가장 주목받는 내용 중 하나는 '뉴미디어 활용 북한인권 홍보 방안'이다.
1세대에게서 바통을 이어받은 2030 젊은 북한인권 운동가들은 미국 의회 청문에 출석해 탈북민들의 상황과 중국 정부의 국제법 위반 행위 등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번 워크숍의 또 다른 특징은 한일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이다. 25일에는 일본 연구자들도 참여해 양국의 협력 가능성을 타진한다. 한일 관계 전문가인 박성훈 교수는 "일본은 납치자 문제 등을 통해 북한인권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양국의 시민사회가 힘을 모으면 국제사회에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UN 등 국제기구에서의 공동 대응, 탈북자 지원 네트워크 구축 등이 구체적인 협력 방안으로 제시될 전망이다.
북한인권 NGO의 세대 구성 변화도 주목할 만하다. 통일부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 북한인권 NGO 활동가 중 2030 세대의 비율은 15%에 불과했으나, 2023년에는 40%까지 증가했다. 또한 활동 영역도 다양화되고 있다. 과거 주로 탈북자 지원과 국제 로비에 집중되었던 활동이 이제는 북한 주민 대상 정보 유입, 디지털 아카이빙, 트라우마 치유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인권 운동과도 맥을 같이한다. 여성인권운동의 경우, 2030 세대의 참여로 온라인 캠페인과 데이터 기반 정책 제안 등 새로운 방식의 활동이 늘어났다. 장애인 인권 분야에서도 VR 기술을 활용한 인식 개선 프로그램 등 혁신적인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북한인권 운동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다른 인권 운동과의 연대를 통해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