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적극추진 나서
충북도는 19일 도청에서 충북과 페퍼에너지 협의체 및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공동대응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충북도와 충북대학교, 충북연구원, 충북테크노파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력공사, SK에코플랜트, 한국전지산업협회, 페퍼에너지 등 관계기관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전력산업의 탈중앙화 및 탄소중립 인프라를 위해 충북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참여한 기관들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해 다양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지속적인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충북도는 2023년 3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약 10개월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해 현황을 조사하고 실증사업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기초를 다질 계획이다. 이후 2024년 2월부터 2030년 1월까지 약 6년 동안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2030년 2월부터 2031년 1월까지 성과를 분석하고 확산 전략을 수립할 예정이다. 충북도는 이번 협약을 통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나서게 되었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면 지역 내 에너지 자립도 향상과 함께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충북도 관계자는 "충북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되면 향후 25년 이상 지역경제 활성화와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충북이 에너지전환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충북도는 지역 내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마련하고, 산·학·연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추진할 예정이다.
충북도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추진은 산업부의 전력시장 제도 개선 방안과도 연계된다. 산업부는 전력시장 제도의 유연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전력시장의 효율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 확대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