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이 생각하는 고연봉 기준 '8500만 원'

잡코리아 조사…고연봉자 되기 위한 방법 '승진' 보다 '이직'

2024-05-29     이영준 기자

메타 커리어 플랫폼 잡코리아는 최근 남녀 직장인 721명을 대상으로 '고연봉자가 되기 위한 방법'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들에게 얼마 이상을 받아야 고연봉자라고 생각하는지 개방형으로 질문했다. 그 결과, 8550여만 원 이상 부터가 고연봉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고연봉 기준은 연령에 따라 달랐다. 20대 직장인들은 7860여만 원 이상부터, △30대 8470여 만원 △40대 9510여만 원부터가 고연봉의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고연봉자가 될 수 있을까? 해당 질문에 직장인들은 '승진' 보다 '이직'이 더 빠른 방법이라고 답했다. 고연봉을 받기 위한 방법 조사(*복수응답)에서 ‘이직을 통해 연봉 점프업을 해야 고연봉자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응답률 5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장인들은 △승진을 통해 관리자 및 임원급이 돼야(46.3%) △경력과 근속 년수가 어느 정도 쌓여야(39.4%) △전문 자격증이 있어야(22.3%) 고연봉을 받을 수 있다고 답했다.

또, 고연봉을 받기 위한 기본 조건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질문(*복수응답)에 직장인들은 '기업 규모(57.4%)'를 가장 첫번째 조건으로 꼽았다. 높은 연봉을 줄 수 있을만한 규모의 기업에 근무해야 고연봉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음으로 △본인의 능력(37.7%)이 중요하고, △맡고 있는 직무(31.5%) △업종(25.7%) △최종 학력 및 학벌(25.5%) 등도 고연봉자가 되기 위한 기본 조건이라고 답했다.

한편, 잡코리아는 고연봉 인재들을 돕기 위한 원픽 프리미엄 서비스를 준비중이다. 원픽 프리미엄 서비스 이용 시, 다양한 업종과 직종의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헤드헌터가 구직 활동의 전 과정을 케어해 줌으로써 성공적인 이직과 연봉 점프업을 돕는다.

잡코리아 원픽 관계자는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이고 싶다면 본인이 담당했던 직무와 업무를 성과 중심으로 잘 정리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또한 입사지원서에 처음부터 너무 높은 희망 연봉을 기재하기 보다는 헤드헌터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면접 과정을 통해 협상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