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환자·독거노인 위한 '스마트 사회서비스' 6월부터 본격화
2020년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 비율 14.1%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들 10명 중 8명은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그리고 이들 10명 중 2명은 일상생활이 불편한 ADL 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제1차 사회서비스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3대 분야 9대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흩어져 있거나 일부 계층이 포함되지 않았던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모아 '국민 누구나 필요할 때 누리는 질 높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올해 '제1차 사회서비스 기본계획'을 통해 복지기술의 연구·개발을 확대하면서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또한 지난 2월 AI, 로봇 등 첨단복지기술 보유 기업을 대상으로 공모하고 지방자치단체를 모집했다.
16일 복지부는 △강원 홍천군 △경북 안동시 △충남 당진시 △충남 금산군 △경기 동두천시 등 5개 지자체를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 사업지로 발표하고 △㈜돌봄드림 △㈜누비랩 △㈜실비아헬스 △㈜메디로지스 △㈜맨엔텔 △㈜마크노바 등 6개 복지기술 보유기업을 선정했다.
이들은 지역에서 혁신기술이 결합된 사회서비스 제공하고 새로운 서비스 모델 개발까지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선정된 기업에 과제당 1~2억 원까지 지원한다.
지역과 기업의 협약과 세부 사업계획 수립을 거치면 6월부터 홍천군에서는 돌봄 조끼를 활용해 노인 안전·안심 서비스를 제공하고 금산군에서는 하지운동을 돕는 자전거를 선보인다. 당진시에서는 키오스크 및 어플을 활용한 치매 예방 및 인지 평가 서비스, 공립요양시설에서 활용 할 수 있는 스마트 기저귀 등을 제공한다. 동두천시에서는 독거노인에 AI가 접목된 스마트밴드 및 스피커를 활용한 안심 서비스를 선보인다.
금산군의 사설 노인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A(54) 씨는 "첨단복지기술이 상용화돼 사회적 약자들이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당연하게 누릴 수 있게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