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vs 팬데믹…100일/200일만에 백신 개발 승부 본다
민·관 협력 국산 mRNA 백신 2027년까지 개발
앞으로 코로나19, 뎅기 등 호흡기 바이러스, 출혈열바이러스가 유행하면 백신 개발을 앞당기게 된다.
정부는 2027년까지 mRNA 백신 기술 확보를 위해 민·관이 손잡고 재정 및 행정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13일 '미래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주권 확보 방안' 간담회를 개최하고 제약업체, 관련 협회 등과 의견을 나눴다.
현재는 코로나19 mRNA 백신을 구매해 지속적인 비용이 발생하지만 앞으로는 국산화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감염병의 대유행을 대비해 개발 역량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mRNA 백신은 '메신저 RNA 백신'의 약자로, 일단 우리 몸에 주입되면 세포 내 바이러스의 일부인 단백질을 만든다. 세포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은 이물질로 인식돼 면역 체계의 공격 대상이 되고, 면역 체계는 이 단백질을 기억해 실제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신속하게 공격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지난 2021년 'mRNA 백신 생산시설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민간 기업에 연구개발세제감면, 규제완화 등의 지원을 통해 민간의 참여도 꾸준히 유도해왔다.
이번에 정부는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100일/200일 백신·치료제 개발 전략을 발표했다.
먼저 국내·외에서 우선순위로 선정한 감염병 9종을 중심으로 백신·치료제 개발 대상을 선정한다.
지난해 12월 발표된'신종 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 계획'에 따르면 선정된 감염병 9종은 코로나19, 인플루엔자, 니파, 라싸, 뎅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치쿤구니아, 신증후군유행성출혈열(한탄),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이다.
팬데믹 발생 전 시제품을 사전 생산하고 백신라이브러리에 비축할 계획이다. 또한 단기적으로는 국내 기술과 일부 기술 도입 연계로 mRNA 백신을 개발하고 장기적으로는 국내 자체 기술 개발과 고도화를 지원한다.
팬데믹이 발생하면 시제품 확보 수준에 따라 100일과 200일 계획으로 나눠 신속 개발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보건복지부가 임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보물질 도출·비임상, 산업통상자원부가 생산, 식약처가 비임상·임상·생산·허가 지원을 협력하기로 했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