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 "힘들게 전 부치지 않아도 돼"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이하 성균관)가 설을 앞두고 차례상에 반드시 기름에 지진 음식을 올리지 않아도 된다며 간소하게 지내라고 권고했다.
‘배꼽 인사’를 할 때 두 손을 모으는 것과 비슷한 ‘공수’(拱手) 자세를 일단 취한 뒤 몸을 숙여서 절하는 것이 예법에 맞다고 안내했다.
또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 종류는 정해진 것이 없으니 편하게 고르면 되고 힘들게 전을 부치지 않아도 된다고 제언했다.
성균관,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한국유교문화진흥원은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런 내용이 담긴 명절 인사법 및 차례 방안을 소개했다.
성균관은 명절 스트레스 원인 중 하나로 꼽힌 차례상에 대해 '간소화' 원칙을 재차 강조했다.
성균관이 제시한 차례상은 송편이 떡국으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추석과 똑같다. 예시로 떡국, 나물, 구이, 김치, 술(잔), 과일 4종 등 9가지 음식을 올린 차례상을 보기로 제시했다.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 종류는 정해진 것이 없으니 4~6가지를 편하게 놓으면 된다.
‘홍동백서(紅東白西:제사상에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일)’나 ‘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밤·배·감)’는 예법을 다룬 문헌에 없는 표현이라고 했다.
지난해 추석 선보인 과일도 예시일 뿐 특정 과일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성균관 관계자는 재차 강조했다.
특히 명절이면 전을 부치느라 고생하는 일이 많다는 점을 고려해 성균관은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며 “전을 부치느라 고생하는 일은 이제 그만해도 된다”고 밝혔다.
세배 때 하는 절은 '전배'(展拜)인데 공수 자세를 취한 후 몸을 굽혀 절을 하면 된다.
공수는 복부와 주먹 하나 정도의 간격을 두고 두 손을 배꼽 높이에서 가지런히 모으는 것을 말한다. 남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포갠다.
유치원 등에서 어린이에게 배꼽 인사를 가르칠 때 하는 준비 자세와 비슷하다.
공수를 한 상태에서 몸을 굽혀 손을 바닥에 대고 왼쪽 무릎, 오른쪽 무릎 순으로 바닥에 닿게 한 후 손등에 닿을 듯 말 듯 하게 머리를 숙인다.
일어설 때는 오른쪽 무릎을 먼저 바닥에서 떼고, 두 손을 오른쪽 무릎 위에 올린 후 왼쪽 다리를 펴며 일어선다.
일어선 후에는 공수한 상태에서 가볍게 고개를 숙이는 '읍'(揖)을 한다.
공수는 평상시에 서서 하는 인사인 '입배'(立拜)에서도 활용된다.
공수 상태에서 상대를 향해 허리를 구부리면 된다.
대략 30∼45도 정도 굽히면 충분하고 지나치게 많이 구부릴 필요는 없다.
차렷 자세에서 허리를 굽히거나 손을 무릎에 올린 상태로 인사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외국 인사법을 모방했거나 국적 불명의 방식이라고 성균관 측은 평가했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인 최영갑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회장은 "제례 문제는 유림과 국민 의견을 묻고 연구해 9월쯤 결과 보고회를 하겠다"며 "궁극적으로 가정불화나 남녀 갈등, 노소 갈등이 없는 행복한 전통문화를 계승하고자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