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은 오는데…충청권 주거 안정성 집중 분석 - 上.
무주택 가구 증가…월세 계약 28.7%↑
충청권은 최근 몇 년간 청년층 이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 중 하나다. 그러나 인구 유입과 지역 활력의 확대가 곧바로 주거 안정으로 이어지고 있지는 않다. 세종일보에서는 이번 '충청권 주거 안정성 집중 분석' 시리즈를 통해 2020~2024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충청권의 청년 주거 환경을 점검하고 지역별로 다른 정착 환경에 대해 짚어본다. /편집자주
전국 주택 소유율이 2024년 56.9%까지 상승하며 201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음에도 청년층은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
국가데이터처의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30대 주택 소유율은 2020년 17.65%에서 2024년 16.15%로 1.5% 하락했다. 서울은 같은 기간 14.43%에서 12.72%로 떨어졌다.
충청권도 예외는 아니다. 대전은 2024년 16.11%, 충북은 19.10%, 충남은 17.83%로 전국 평균과 비슷한 수준에서 정체됐다. 특히 대전은 서울 다음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세종만 2020년 21.26%에서 2024년 23.74%로 상승했다.
세대 구성 변화는 주택 소유율 정체와 연결된다. 전국 1인 가구는 2024년 800만 가구를 넘어섰고, 청년 1인 가구의 자가 비율은 30.6%로 낮다. 보증금 있는 월세 비중이 38.0%로 가장 높아 초기 자산 형성과 소유 전환이 제한되는 구조가 됐다.
신혼부부는 2018년 132만2000쌍에서 2022년 103만2000쌍으로 감소했다. 맞벌이 비중도 일부 연령대에서 하락해 혼인 기반 주거 안정 경로가 약해지고 있다.
결혼과 정착, 자가 마련으로 이어지는 전통적인 경로가 청년층에서는 약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충청권 전·월세 시장의 변화는 이런 흐름을 더욱 강화한다. 올해 1월~7월까지 월세 계약은 10만5856건으로 전년 동기(8만2233건) 대비 28.7% 증가했다. 대전은 21% 증가, 세종은 27.7% 증가, 충북은 48.1% 증가, 충남은 19.9% 증가를 기록했다. 전세사기 여파와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 기준 강화(공시가격 126%)가 월세 수요 급증의 주요 원인이 됐다.
또한 주택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2025년 4월 기준 서울의 PIR(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 8.0배로 나타난 가운데 대전이 7.9배, 세종이 7.0배, 충남이 6.2배, 충북이 5.5배인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에 거주하는 청년은 월급을 8년간 쓰지 않고 모아야 자가 마련이 가능하다는 의미가 된다.
산업단지 중심의 이동 근로자 증가도 주거 정착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다. 천안과 아산 산업단지는 전국 입주업체의 2.5%에 불과하지만 고용 비중은 6%를 차지하고 누계수출 비중은 15%에 달한다. 오송과 청주 산업단지도 고용 흡수력이 커졌지만 제조업 근로자는 통근·기숙사·단기 월세 중심의 거주 패턴을 보이며 소유 전환 속도가 느리다. 산업단지 인근 지역에서 단기 임차 수요가 급증하고 월세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은 충청권 전체의 무주택 가구 증가와 연결된다.
결국 청년층 유입이 확대되지만 정착은 지연되는 충청권의 이중구조가 확인된다. 가구는 늘어도 정착의 핵심 지표인 주택 소유율은 의미있는 상승을 보이지 못하고 산업 중심의 이동 근로가 소유 전환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계속>/이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