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 키워도 내수 의존…충청권 고용률 66%

2025-11-12     이승현 기자
아이클릭아트 

10월 충청권 고용률은 전국 평균을 소폭 웃돌며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다. 대전과 세종은 정보통신·전문서비스업 등 기술 기반 일자리가 늘며 비교적 견조한 흐름을 보였고, 충남과 충북은 제조업 부진 속에 도소매·숙박음식업 등 내수 서비스업이 완충 역할을 했다. 그러나 지역별 산업 편차가 커 고용의 질적 회복으로 보기에는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충북은 고용률이 전년보다 상승했지만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여전히 10%대 초반에 머물렀다. 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산업 육성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나 대기업 중심의 고용이 중소기업으로 확산되지는 못한 모양새다. 충북은 올해 정책자금3950억 원을 중소기업에 공급하고 창업펀드 1천억 원을 조성했으나 신규 창업 중 기술 기반 업종은 3.1% 감소했다. 산업 전환의 속도에 비해 일자리 창출 효과가 더디다는 점에서 제조업 중심의 고용 기반 약화가 지속되고 있다.

충남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산업단지를 보유한 지역으로 올해만 21개 신규 산업단지를 지정했다. 총면적 1200만㎡ 규모의 개발로 20만 명이 넘는 고용 창출이 예상되지만 실제 취업자 증가율은 정체 수준에 머물렀다. 석유화학·자동차 등 주력 제조업의 둔화와 -건설업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다만 천안·아산을 중심으로 한 첨단 산업벨트와 서해안권 에너지 산업벨트 구축이 본격화되면서 중장기적 고용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대전은 기술·전문서비스업 중심의 고용 증가세가 이어졌다. 대덕특구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ICT·과학기술 스타트업이 확대되며 고용률이 전년 대비 2%p 이상 상승했다. 다만 청년층 고용률은 소폭 하락했고 제조업 기반이 약해 고용의 외연 확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은 공공행정 중심의 고용 안정세가 이어졌지만 민간 일자리 확산은 둔화됐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6.3%로 전년보다 1.0%p 하락했고, 고용률은 64.7%로 전년 대비 1.5%p 떨어졌다. 공공부문 의존도가 높아 경기 변동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지만 정보통신·전문서비스업 등 민간 부문 고용 창출력이 약화된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이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