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과일 할인, 비축물량 방출…정부, 물가 안정 ‘3중 대응’
정부가 기상악화로 인한 농산물 가격 불안과 연말 소비자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선제 대응에 나섰다. 농산물 비축물량 방출과 할인지원을 확대하고, 외식·숙박요금 등 민생 물가를 집중 관리하는 한편, 유류세 인하 조치도 연장한다.
기획재정부는 23일 이형일 제1차관 주재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먹거리·석유류 등 주요 품목의 가격 동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 차관은 "잦은 강우와 기온 하락으로 농산물 가격 변동이 우려되는 만큼 비축물량 방출과 철저한 작황관리로 수급 안정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농산물은 생육지연과 병충해 확산에 대비해 농식품부, 농진청, 지자체, 농협 등이 협업해 약제와 영양제 공급을 강화한다. 사과와 단감 등 과일류는 출하가 회복될 때까지 정부 할인지원을 이어가며, 김장철을 앞두고 배추, 무, 마늘 등 주요 재료의 정부 비축물량을 확대한다. 정부는 다음 달 초 ‘김장재료 수급안정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민간과 협력한 대규모 할인행사를 추진한다. 10월 28일부터 11월 9일까지 한우를 최대 50% 할인 판매하고, 11월에는 돼지고기, 젓갈 등 김장 재료류와 대중성 어종을 대상으로 할인행사가 이어진다.
정부는 또한 APEC 정상회의와 가을 지역축제 기간 중 외식·숙박요금 인상을 막기 위해 민관합동 물가점검반을 가동했다. 행안부를 중심으로 주요 관광지를 집중 점검하고, 불법 요금인상 적발 시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12월까지 2개월 연장하고, 경유·CNG 유가연동보조금도 같은 기간 연장해 운송업계의 부담을 줄인다. 정부는 연말까지 슈링크플레이션(가격은 그대로 두고 중량이나 용량을 줄이는 행위) 근절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이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