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강력범죄 급증에 여행경보 최고단계 발령
캄보디아 일부 지역이 한국인 대상 강력범죄 급증으로 인해 여행금지 구역으로 지정됐다. 외교부는 16일 0시부터 캄폿주 보코산 지역, 바벳시, 포이펫시에 여행경보 4단계(여행금지)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시하누크빌주는 3단계(출국권고), 프놈펜시 등 기존 특별여행주의보 지역은 현 상태를 유지하며, 그 외 전 지역은 2단계(여행자제)로 상향 조정된다.
이번 조치는 올해 들어 현지에서 발생한 납치·감금·폭행 등 강력범죄 피해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2025년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이 피해를 입은 사건은 600건을 넘어서며, 단순 취업사기 수준을 넘어 조직범죄와 결합한 강제노동, 고문, 살인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3월에는 프놈펜의 코인 환전소 관련 구직 광고를 보고 출국한 한국인이 여권과 휴대폰을 빼앗긴 뒤 보이스피싱 조직에 강제로 투입돼 지속적 폭행을 당했다. 7월에는 일명 ‘21호’로 불린 청년이 불법 감금·폭행 끝에 사망했으며, 조직이 중국인으로 허위신고한 사실이 드러나 현지인 14명이 체포됐다.
8월에는 시아누크빌에서 쇠파이프와 전기충격기로 고문당한 채 160일 넘게 감금된 피해자 2명이 경찰 급습으로 구조됐다. 9월에도 프놈펜 중심가 카페 인근에서 한국인이 차량에 납치돼 수일간 감금·폭행을 당한 뒤 구조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처럼 강력범죄가 연쇄적으로 이어지자 외교부와 대통령실은 현지 대사관에 경찰 인력을 증원하고 특별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또한 1천만 원 이상의 고수익을 미끼로 한 해외 구직 광고에 속아 출국한 이들이 조직에 신변을 빼앗기고 강제노동에 동원되는 사례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서만 실종·납치 신고가 330건에 이르며, 피해자 상당수가 고문과 협박, 마약 강제투약을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외교부는 여행금지 지역을 방문하거나 체류할 경우 여권법 등에 따라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하며, 해당 지역 여행 계획이 있는 국민은 반드시 취소할 것을 당부했다. /이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