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피해 우체국·정부24 먼저 재개
정부는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직접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을 대구센터로 이전 복구하는 데 약 4주가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29일 오후 세종청사 브리핑에서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 소요될 것"이라며 "대구센터 입주기업의 협조를 받아 최대한 일정을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화재 영향이 적은 1∼6층 전산실 시스템부터 재가동에 들어갔다.
5층 전산실은 분진 청소 후 재기동할 예정이다.
김 차관은 "서버 등 정보시스템은 정전기와 물에 취약해 전문업체가 작업하고 있으며, 1~2주 정도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정오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중 62개가 복구됐다. 1등급 업무는 전체 36개 중 16개(44.4%)가 정상화됐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우체국 우편·금융서비스가 우선 복구됐고, 주민등록등본 발급 등 정부24 서비스는 이날 오전 8시 30분께 재개됐다.
복구 현황은 네이버, 다음 등을 통해 수시로 공지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날 전소된 주요 정보시스템 96개 목록도 공개했다.
통합보훈(국가보훈부), 국민신문고(권익위),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안전디딤돌(행안부) 등 1등급 시스템을 비롯해 노사누리(고용노동부), 대테러센터 홈페이지(국무조정실), 범정부데이터분석시스템(행안부), 정책브리핑(문체부) 등이 포함됐다.
복구 기간을 감안해 9월 재산세 등 세금 납부 및 서류 제출 기한이 연장됐다. 오프라인 서류 발급 수수료도 전면 면제된다.
김 차관은 "무자격 업체가 배터리 운반에 투입됐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며 "화재 당시 작업자는 자격을 보유한 전문기술자"라고 해명했다.
이어 "국민께 불편을 끼쳐 거듭 송구하다"며 "신속한 복구와 조속한 상황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성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