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정자원 전산실 화재, 정부 온라인 서비스 647개 중단

2025-09-27     이성재 기자

26일 오후 8시 20분께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가 약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6시에 완전히 진화됐다. 소방 당국은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을 해산하고 상황대책반 체제로 전환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번 화재는 26일 오후 8시 15분경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작업자 13명이 리튬배터리를 교체하던 중 배터리 1개에서 불꽃이 발생해 발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현장에 있던 100명은 자력 대피했고, 작업자 1명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었다. 건물 일부와 전산 장비가 불에 탔으며, 배터리 384개가 전소된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청은 화재 발생 10시간 만인 27일 오전 6시 30분에 초진에 성공했지만 완전 진압까지는 시간이 더 걸렸다. 27일 오후 2시 기준 장비 67대와 인원 227명이 투입돼 진화 작업을 이어갔으며, 오후 7시에는 전소된 배터리 중 212개를 반출하고 당일 안에 모든 배터리 이동을 마칠 것으로 예상했다. 건물 내부는 송풍기를 이용한 배연 작업을 진행했고, 5층 전산실의 화염과 연기가 모두 제거돼 재발화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해 완진을 선언했다.

발화된 리튬이온 배터리는 2~3일간 소화수조에 담가 재발화를 방지하기로 했다. 확보된 배터리는 이동식 침수조에 넣어 냉각작업을 진행 중이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보내 발화 원인을 정밀 감정할 예정이다.

이번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을 멈췄다. 화재로 항온·항습기가 고장 나면서 서버 전원이 꺼졌기 때문이다. 중단된 시스템 중 436개는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인터넷망 서비스이고, 211개는 공무원 행정내부망 서비스다. 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우체국, 보건복지부 복지로·사회서비스포털, 행정안전부 정부24·국민비서·모바일 신분증·정보공개시스템·온나라문서·안전신문고·안전디딤돌, 조달청 나라장터·종합쇼핑몰 등이 대표적이다.

소방청은 소방시스템 정상화를 위한 복구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이번 화재로 일부 영향을 받은 다매체 신고 중 119 문자신고는 112와 공동대응 체계를 가동해 응급조치를 마쳤으며, 영상신고와 웹신고도 차질 없이 복구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다만 현장 진입이 아직 어려워 서버 재가동 등 본격적인 복구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소방과 경찰 등 관계기관은 조만간 합동 감식을 통해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를 규명할 예정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국민 불편이 신속히 해소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조해 복구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성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