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경제 침체 속 금융건전성 저하…지방은행 연체율 1% 돌파
2분기 기준 지방은행의 연체율이 1.04%로 상승하며 2012년 이후 처음으로 1%를 초과했다. 이는 지역경제 부진과 특정 업종의 신용위험이 누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부동산업 연체율은 0.53%에서 1.42%로, 건설업은 0.79%에서 1.41%로 각각 상승했다. 지방 부동산시장 침체와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역 내 제조업도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등 특정 업종에 편중돼 있어 대외여건 변화 시 신용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같은 기간 비수도권 주택시장은 약세 흐름이 뚜렷하다. 2025년 8월 기준 수도권 주택매매가격은 1.8%(서울 4.8%) 상승한 반면, 비수도권은 1.1% 하락했다. 비수도권의 주택매수심리와 가격상승 기대가 모두 약화되며 거래량도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준공후 미분양 물량은 202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5년 7월 기준 2.3만 호를 기록하며 장기평균인 1.3만 호를 크게 웃돌았다. 반면 수도권은 6.27대책 이후 상승세가 다소 둔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격 회복세가 유지되는 양상이다.
이러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시장 괴리는 지역기반 금융기관의 자산 건전성과 신용공급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4년 이후 지방은행의 총자산 증가율은 시중은행을 하회하는 추세이며, 중소기업 대출 증가율이 크게 둔화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2025년 들어 신용대출 중심으로 일부 반등이 있었으나, 전반적인 자산 성장세에는 여전히 제약이 있다. 이로 인해 해당 지역의 중소기업 자금조달에도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행은 금융안정 보고서를 통해 지방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이 특정 지역 및 업종에 편중된 영업 구조로 인해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고 지적했다. 지역경제의 이중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금융기관의 건전성 저하뿐 아니라 지역 내 실물경제 전반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이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