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산업서 수출↓수입↑ 동시 발생...세부 품목 분석 필요성 대두
2025년 8월 국내 기계산업 수출입 데이터 분석 결과, '기타 구조용 금속제품' 품목에서 주목할 만한 이상 징후가 포착됐다. 해당 품목은 구조용 금속제품 카테고리 내 세부 분류로, 전체 기계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지만 수출 급락과 수입 급등이 동시에 발생하는 특이한 패턴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무역통계에 따르면, 기타 구조용 금속제품 수출액은 6월 625117달러에서 8월 1347723달러로 약 54% 하락했다. 반면 수입액은 같은 기간 3543655달러에서 7869905달러로 2배 넘게 증가하며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
이는 동일 분류에 속한 다른 품목들과 상반된 움직임이다. 금속조립 구조재와 구조용 금속판제품 및 금속공작물의 경우 6월 대비 8월 수출이 각각 1.25배, 1.32배 성장했고, 수입도 비슷한 증가세를 보이거나 소폭 감소에 머물렀다.
구조용 금속제품 전체 실적을 살펴보면 수출은 80990200달러에서 100967969달러로 24.7% 증가했고, 수입은 136225171달러에서 180204266달러로 32.2% 늘었다. 전체 기계산업 중 해당 단일 품목만 수출 위축과 수입 확산이 겹친 유일한 사례로 기록됐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의 배경으로 세 가지 요인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가격 경쟁력 악화로 인한 해외 시장 점유율 하락 가능성이다. 둘째는 국내 생산 기반이 위축되면서 수입 의존도가 심화됐을 가능성이다. 마지막으로는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사업 영역을 전환하면서 기존 제품 생산과 수출을 줄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품목이 주로 활용되는 건설용 철골, 공업용 금속틀 등의 특성상 단기 수요 변동성이 낮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경기 변동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수출과 수입이 정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은 가격이나 물류 등 일시적 요인보다는 산업 구조 차원의 변화를 암시한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기계산업 전체 수출 규모는 6월 192억3438만 달러에서 8월 164억6866만 달러로 줄었으며, 구조용 금속제품군은 이 중 0.4~0.6% 수준의 소규모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런 세부 품목의 변화 양상은 산업 내부의 수출입 경쟁 구도 변화를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현재 정부와 업계는 제조업 주요 품목의 수출입 현황을 토대로 한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 중이지만, 세부 품목별 경쟁력 변화를 조기에 감지하고 대응하는 데는 아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번 사례는 기계산업 같은 다층적 제조 분야에서 품목별 세밀한 분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해당 품목의 역전 현상이 구조적 변화인지 일시적 현상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향후 분기별 데이터 추이를 지속 관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는 품목별 경쟁력 분석 체계를 점검하고, 수입 대체가 가능한 품목에 대한 국내 생산 지원 정책을 보다 정교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도 나오고 있다. /이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