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진로교육 '양은 늘고 질은 제자리'... 지역격차 심화

2025-08-18     이현정 기자
아이클릭아트

올해 전국 중학교 10곳 중 9곳 이상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교육 내실과 지역 연계 수준에서는 학교별로 큰 편차를 보이며, 민간 부문과의 협력은 여전히 미흡한 상태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진로체험 행사를 실시한 학교 비율은 중학교 93.3%, 고등학교 90.8%로 집계됐다. 동아리 활동을 보면 중학교는 학교당 10.2개, 고등학교는 15.2개를 평균적으로 운영 중이다. 문제는 이 중에서 진로교육 요소가 포함된 동아리가 중학교 54.4%, 고등학교 38.9%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교과 연계 진로교육 실시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중학교 담임교사의 절반 이상(52.7%)이 긍정적으로 답한 반면, 고등학교는 10명 중 4명(39.3%)만이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가장 두드러진 문제는 외부 기관과의 협력 체계다. '지역사회 협조 및 지원' 평가에서 민간기업과 체험처는 5점 만점에 중학교 3.36점, 고등학교 3.10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내 구성원(중학교 4.19점, 고등학교 4.07점)과 학부모(중학교 3.73점, 고등학교 3.54점)에 비해 1점 가까이 낮은 수치다. 결국 진로교육이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에 의존하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 셈이다.

이 같은 환경 차이는 학생 개인의 역량 개발에도 직결된다. 다양한 진로체험을 경험한 학생일수록 목표 의식이 뚜렷하고 직업 탐색에 적극적인 반면, 기회가 제한된 환경의 학생들은 진로 설계 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게 교육부 분석이다.

지역 격차도 선명하다. 충북의 경우 진로체험 행사 실시율은 중학교 93.7%, 고등학교 89.6%로 전국과 비슷하지만, 민간기관 협력도는 전국 평균을 밑돈다. 수도권 대비 체험 인프라와 프로그램 선택권이 부족한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학교 중심 진로교육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체험처 다변화, 자치단체 역할 확대, 기업과의 장기 파트너십 구축 등 지역 기반 협력 모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교육 소외 지역을 위한 정부 차원의 체계적 지원과 격차 해소 정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