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1.3%, 충남 2.7%…충청권 실업률 전국 평균 밑돌아
7월 충청권 실업률은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 충북 1.3%로 전국 최저치를 기록했고, 충남 2.7%, 대전·세종 2.4%로 모두 3% 미만을 유지했다. 전국 평균 2.4% 대비 낮은 수준이다.
고용 안정은 정부세종청사와 대덕연구개발특구 등 공공·R&D 부문의 완충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수도권 접근성과 상대적 저비용 생활환경이 청년 정착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충청권 취업자 증가는 SOC·공공서비스 부문에 집중됐다. 국토부는 상반기 SOC 예산 70%(12조원)를 조기집행했으며, 대전·세종권 포함 신규사업 47건(사업비 19조원)이 착공됐다. 행안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은 지속 확대되어 2단계 기간 중 7만8천명 고용을 창출했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등 사회서비스 확장과 공공복지 일자리 증가가 고령층 고용에 기여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농림어업, 보건·복지 분야에서 취업자가 늘어났다. 하지만 농림어업의 경우 한파·냉해·폭우 등 기상 요인과 구조적 감소 추세가 맞물려 전년 같은 달 대비 12만7천명이 줄어들었다. 숙박·음식점업은 전국적으로 7만1천명 감소하여 44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나타냈으며, 이는 대전·세종권 등 관광과 내수 중심 지역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청년층 고용 상황 개선은 주로 단기·불안정 일자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확장실업률이 2월 10.2%에서 7월 8.8%로 1.4%포인트 낮아졌지만, 임시·단기 일자리 비중이 높아 고용의 안정성 면에서는 걱정스러운 부분이 있다. 20대 중 '쉬었음' 인구는 전국적으로 42만1천명을 기록해 사상 최고치에 달했다. 고령층 취업자는 700만명을 넘어섰으며, 충청권에서도 사회서비스형·행정보조 등 다양한 직종에서 고용이 증가했다.
고용 형태를 보면 상용근로자는 23만4천명 늘어났지만, 임시근로자는 12만6천명, 일용근로자는 11만6천명 각각 감소했다. 비정규직 비율은 38.2%로 1.2%포인트 올라갔으며, 특히 60세 이상 연령층에서 증가세가 뚜렷했다.
충청권 고용시장은 공공부문과 연구개발 중심의 안정적 기반과 SOC 투자 효과에 힘입어 전국 최저 수준의 실업률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숙박·음식점업 등 내수업종의 어려움과 청년층 양질의 일자리 부족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정부의 단기적 부양 정책과 더불어 산업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장기적 고용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이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