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3%·적자 심화…충청권 공영개발사업 '흔들'
2023년 기준 충청권을 포함한 전국 공영개발사업의 부채 및 자본 합계는 27조 5321억 4140만 9976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부채는 6925억 2306만 6293원으로 전체의 약 3% 수준이며, 자본은 26조 8396억 1834만 3683원에 달한다. 부채 비중만 보면 안정적인 재무 상태로 보이지만, 당기순손익은 1300억 원대 적자를 기록해 손실 폭이 크다.
전국 도시개발공사 운영 현황을 보면, 택지개발 지구는 총 75개이며 이 중 충청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 수준으로 추정된다. 충북·충남·대전·세종권역에서는 주택건설, 공단조성, 주택관리 등 복합 개발사업이 집중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세종시 신도시권과 대전 도심 재개발 구역은 주거 공급 확대를 주도하고 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분양률이 전국 평균을 밑도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충남 서해안권 산업단지의 경우, 입주 기업 부족으로 가동률이 절반 이하에 머무르며 전국 평균 대비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 충청권 개발사업의 택지 공급 규모는 꾸준히 증가했으나, 공급 증가율에 비해 실수요 증가율은 둔화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는 전국 평균과 비교해도 유사한 추세지만, 충청권은 신도시 중심의 대규모 공급이 이미 상당 부분 진행돼 추가 수요 창출 여지가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리스크가 크다. 반면 전국 평균 대비 충청권의 산업단지 개발 면적 비중은 높아 제조업·물류 중심의 산업기반 확충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공영개발사업의 현금 흐름과 재무 건전성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다. 택지와 산업단지 매각 지연은 부채 상환 속도를 늦추고, 신규 사업 추진 여력을 축소시키며, 장기적으로 자본 잠식을 유발할 수 있다. 충청권은 전국 평균보다 부채 비율이 낮지만, 대규모 적자 구조가 지속되면 재정 부담이 급격히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사업별 손익분석을 통한 효율성 제고, 미활용 자산 매각 가속화, 민간 투자 유치 확대, 중앙정부 재정지원 구조 개선 등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단기적으로는 분양 촉진과 현금 유입 확대가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공급 위주의 개발에서 수요 기반의 맞춤형 개발로 전환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이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