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어촌 고령화 시계 빨라진다
귀어 통계는 어촌의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다. 전국 귀어가구 중 50대 이상이 66%를 차지했고, 30대 이하 청년층은 13%에 불과했다. 귀어인의 절반 이상이 전남과 충남에 몰려 있어 지역 불균형이 심화되는 가운데, 수도권 청년의 귀어 진입은 거의 전무하다. 경기도의 경우 최근 5년간 40세 미만 귀어인이 한 명도 없다는 사실은 문제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정부와 지자체가 창업·주택 자금, 정착지원금 등 다양한 지원책을 운영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청년층이 귀어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는 미미하다. 초기 투자비 부담, 어촌계 진입 장벽, 낮은 수익성과 불안정한 조업 여건은 여전히 청년층 유입을 가로막고 있다. 특히 단기 정착지원에만 초점을 맞춘 현행 정책은 교육과 창업, 정착, 사후관리까지 이어지는 체계적 지원 체계가 부재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뚜렷하다.
어촌 고령화는 단순히 인구 구조 문제를 넘어 수산업 지속가능성과 직결된다. 청년층의 부재는 생산성 저하와 어업기술 단절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어촌 공동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지역 불균형 또한 심각하다. 특정 해안권에 귀어인이 집중되면 자원 이용과 어획 경쟁이 과열되고, 다른 지역은 어촌 소멸 위험이 가속화된다.
정부는 지금까지의 귀어 정책을 재점검해야 한다. 단기 지원 위주의 분절된 사업을 통합하고, 청년층에 특화된 장기적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어촌계 진입 장벽을 낮추고, 양식업·관광 연계형 모델 등 안정적 수익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년이 돌아오지 않는 어촌에 미래는 없다. 지금이 어촌 고령화의 시계를 늦출 마지막 기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