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스마트폰 과의존, 해법은 지역 연계망

2025-07-29     세종일보
아이클릭아트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적 게임 이용, 공부 스트레스와 사회적 고립. 최근 아동·청소년을 둘러싼 위험 징후는 기술 사용 습관이나 학업 환경의 문제가 아니라, 이들을 지탱할 정서적 지지망이 허약하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2023년 보건복지부 아동종합실태조사에 따르면 9~17세 아동 중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고위험군은 23.8%, 문제적 게임 이용군은 9.6%에 달했다. 공부 부담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를 ‘자주 경험한다’고 응답한 비율도 늘었으며, 학교생활 만족도와 가족관계 점수가 낮은 아동일수록 지역사회 참여율이 떨어졌다.

이 수치는 가정과 학교만으로는 아동의 정서와 사회성을 지키기 어렵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하루 6시간 이상 앉아 있는 아동이 늘어나고, 활동 시간이 부족한 아이들이 온라인 세계에 몰입하는 동안, 오프라인에서 소속감을 회복할 기회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지역사회는 더 이상 부차적 지원기관이 아니라, 아동의 생활권에서 심리적 안전망을 형성하는 주체가 되어야 한다.

국내 일부 지자체는 이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대전 등 광역시는 Wee센터를 고도화해 학교와 지역기관이 함께 위기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드림스타트와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연계해 마음건강 프로그램을 확대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시도는 여전히 지역별 편차가 크고, 참여 기회와 접근성이 제한적이다.

WHO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통합된 멘탈헬스 지원 체계를 권고하며, 상시 상담 인력과 디지털 연계시스템 구축을 강조한다. 핀란드의 ‘학생 복지팀 제도’는 담임·상담교사·보건교사·지역 전문가가 한 팀을 이뤄 개별 학생을 모니터링하고 응급 지원까지 법으로 보장한다. 한국도 마찬가지로 가정-학교-지역사회의 공동 책임과 정보 공유, 즉 ‘연계형 정서지원체계’를 제도화해야 한다.

아동의 일상 속 정서적 공백을 줄이기 위해서는, 스포츠·문화·멘토링 등 지역사회 중심의 오프라인 활동 저변을 넓혀야 한다. 단기 사업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인프라로 자리 잡아야 한다. 부모와 교사, 지역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서지원 네트워크는 단순한 복지정책이 아니라, 아동의 미래를 지키는 필수 안전장치다.

학교와 가정만으로는 부족하다. 지역사회가 그 허리를 단단히 지탱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