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보다 위험한 노동…충청권 온열질환 '작업장·고령자' 집중

2025-07-07     이현정 기자
아이클릭아트 

여름 충청권이 온열질환 취약지역으로 다시 부각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5월 15일부터 7월 6일까지 전국적으로 집계된 온열질환자 875명 가운데 충청권(충북·충남·대전·세종) 발생자는 총 87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의 약 10%에 해당하는 수치로, 인구 규모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충남이 34명으로 가장 많았고, 충북 41명, 대전 12명으로 뒤를 이었다. 세종은 같은 기간 0명이었다. 충남에서는 7월 6일 기준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도 1명 발생해 충청권 전체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 충북은 6월 말 이후 하루 3명 이상 발생한 날이 4일 이상 지속되며 주의를 요하는 수준이다.

전체 온열질환자의 81.4%는 실외에서 발생했고, 이 가운데 논밭이나 작업장에서의 비율이 각각 16.6%, 7.8%로 높았다. 이는 농업 비중이 높은 충청권의 산업 구조와도 연관이 깊다. 실제로 환자 직업군 중 농림어업 숙련종사자는 91명으로 전체의 10.4%를 차지했다. 또한 60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33.3%로, 연령대별로는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3시부터 6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특히 16~17시 사이에만 전체 환자의 12%가 집중됐다.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으로 치솟았던 7월 1일부터 6일 사이에만 충북에서 24명, 충남에서 21명이 발생해 한 주 동안만 총 45명이 발생한 셈이다.

충청권 지자체는 취약시간대에 맞춘 예찰과 무더위쉼터 운영을 확대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보 접근성이나 응급 대응 체계에서의 지역 간 격차가 존재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열사병 환자 비율이 20.1%에 이르는 가운데, 응급 이송 이후의 치료 인프라 역시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충청권의 경우 농작업과 실외 노동 비중이 높은 점, 고령 인구 밀집 지역이 많은 점을 고려해 폭염 대응 체계를 보다 정밀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단순한 기온 기준이 아닌 '노출시간 기반 위험예보'와 '작업 중단 권고 기준' 등이 병행되어야 실효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