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임대의 전환기를 맞다 - ④

평균의 함정… 평균값으로 오해된 4개의 시장

2025-07-02     이성재 기자
아이클릭아트 

충청권의 월세 시장은 전세에서 월세로, 고보증에서 저보증으로의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가격 상승'이나 '수요 이동'만으로는 설명 되기 어렵다. 세종일보는 이번 기획에서 충청권의 실제 월세 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숨겨진 선택의 맥락과 하나로 묶을 수 없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지역이 가진 주거 계약 생태계를 드러내고자 한다. 1편에서는 전세가 사라지고 월세가 두드러지는 현상을, 2편에서는 동일한 가격 아래 다양한 주거 조건을, 3편에서는 '보증금 1000만 원'이라는 기준선을, 4편에서는 충청권을 하나의 시장으로 보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편집자

실제 임대차 계약들을 살펴보면 시장에서는 충청권역 내에서도 지역별로 다른 특징들을 보인다. 같은 금액으로 임대되는 주거 상품의 품질, 보증금-월세의 구성, 고가 매물 등이 그렇다. 

세종과 충남은 동일한 주거 유형이라도 구조가 확연히 다르다. 세종 연립·다세대의 평균 보증금은 약 630만 원으로 충남(1120만 원)보다 낮고, 평균 월세는 34.7만 원으로 충남(30.3만 원)보다 높다. 이는 세종이 '저보증 고월세' 구조에 더 깊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전은 지역 내에서도 격차가 크다. 유성구는 오피스텔 평균 월세가 45만원을 넘겼다. 반면 동구와 대덕구는 20만 원 이하 계약도 빈번하다. 같은 유형이라도 도시 개발 속도, 대학가 밀집도, 교통 접근성에 따라 평균 월세가 2배 이상 차이나는 구조다.

충북은 전체 평균 월세가 전국보다 낮지만 오피스텔 면적은 전국 평균보다 좁고 노후 비중이 높다. 연면적 20㎡ 이하의 계약 비중이 52%에 달해 체감 주거 효율은 더 떨어지는 지역이라는 평가도 있다. 

이런 차이는 단순한 소득 격차나 도시 규모의 문제가 아니다. 공급 주체가 누구였는지, 어떤 방식으로 주거 단지가 형성됐는지, 신축 공급이 어느 시점에 집중됐는지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충청권은 편의상 하나로 묶여 불리는 경우가 많으나 주거 시장에서는 완전히 다른 개별 시장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차이를 반영하지 않고 전국, 권역 단위로 임대차 정책을 손질할 경우 특정 지역이 정책의 사각지대를 경험하게 될 수 있다. <끝> /이성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