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점포의 불등(不燈)- ③

리모델링·임대료 인하만으로는 공실 못 줄인다

2025-06-27     이승현 기자
아이클릭아트 

충청권 상가 공실률은 규모와 유형을 가리지 않고 전국 평균을 넘어서고 잇다. 왜 충청권의 점포가 텅 비어가는가. 이 질문은 곧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묻는 것이기도 하다. 중대형과 소규모 상가 모두에서 드러나는 위기는 단순 자영업의 침체를 넘어선 신호일 수 있다.  이번 기획을 통해 세종일보는 전국 통계와 지역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충청권 상가 공실률의 현황과 배경을 분석한다. /편집자

충청권 상가 공실률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이에 대응하는 정책 수단은 아직도 공급자 중심의 물리적 처방에 머무르고 있다. 리모델링 지원이나 임대료 조정, 창업 공간 확대 등 기존 대책은 상가 물리 환경 개선에는 효과가 있을지 몰라도 실질적 수요 회복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지자체들은 공실 상가를 창업 인큐베이터나 공공 편의시설로 전환하는 등 다양한 대응책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상업시설 본연의 기능인 '지속적 임대와 소비 유치'가 동반되지 않으면 이런 시도는 일시적 공공성 확보에 그칠수 밖에 없다. 공실 상가에 창업 보육센터나 청년창업존을 마련하더라도 유동 인구가 없거나 상권이 쇠퇴한 지역에서는 입점률 유지 자체가 어렵다. 

충북도는 지난해 공공기관 연계형 상가활성화 모델을 도입했지만 실제 매출 증대나 소비 유인에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충남도 역시 전통시장과의 연계 전략, 소상공인 협업매장 유치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일시적 완화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충청권 상가 공실 문제를 '자영업 실패'로만 접근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다. 이는 단순한 사업 손익의 문제가 아니라 도시계획·유동 인구·상업구조라는 복합 정책 이슈ㅠ라는 것이다. 실제로 한양대학교의 연구에서는 상가 공실률이 인구구조, 유입 인구 흐름, 산업 입지 등 다양한 사회경제 요인과 복합적으로 연계돼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충청권 전반에서 상권의 기능 전환을 위한 고민이 부족하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젠트리피케이션을 피해 저렴한 임대료만으로 공간을 유지하려는 흐름과 소비자의 생활 변화에 부응하지 못한 업종 구조도 문제다. 상가 공간을 단순 임대목적이 아니라 지역 특화 소비 기능과 문화·복지 기능이 결합된 복합공간으로 재편해야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지역상권은 도시 내 흐름을 담는 기능 단위다. 상가 공실률을 줄이기 위해선 개별 점포 지원을 넘어서 상권 자체를 재편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충청권의 공실률 위기는 지역이 직면한 과제를 압축해 보여주고 있다. <끝> /이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