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년 떠난 귀농정책
충청권 농촌의 귀농·귀촌 흐름은 고령층 중심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충남과 충북의 귀농인 중 60대 이상이 과반을 차지했고, 40대 이하 청년층은 10퍼센트에도 미치지 못했다. 귀농가구 대부분이 1인 고령 가구이며 가족 단위 이주는 극히 드물다. 귀촌 역시 유사하다. 지난해 충청권 귀촌인 가운데 50대와 60대가 각각 전체의 30퍼센트 가까이를 차지했고, 70대 이상 비중도 상승했다. 반면 20대와 30대는 충남과 충북 모두에서 10퍼센트 안팎에 그쳤다.
이러한 현실을 바꾸기 위해 충남과 충북은 최근 3년간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충남은 천안시 등에서 청년 농업인에게 최대 3년간 월 110만 원의 생활안정자금을 지급하고, 농기계 지원과 빈집 수리, 마을 융화 프로그램 등을 시군별로 확대했다. 충북도 창업 자금 융자, 귀농인의 집 제공, 체류형 교육시설과 경영실습 임대농장을 통해 청년층 유입을 유도했다.
정책 지원은 확대되고 있지만 실제 정착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 농지 구입 부담, 판로 불안정, 교육과 의료 같은 생활 인프라 부족, 농업 외 수입 확보 어려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가족 단위 이주 기반이 취약하다는 점도 정주 의지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도시에서 농촌으로의 이동이 일시적 체류에 그치고 다시 원래 지역으로 돌아가는 순환적 귀농 흐름이 반복되고 있다.
청년 유입 없이는 농촌의 지속 가능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귀농·귀촌 정책이 체험과 이동에 머무르지 않기 위해선 구조 전환이 필요하다. 지역 맞춤형 일자리 연계, 장기 거주 기반 조성, 가족 동반 정착 여건 정비가 선결 과제다. 정책이 단순한 숫자 증가에 그쳐선 안 된다. 농촌이 미래의 삶터가 되기 위해선 생계, 교육, 보건, 문화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정착 생태계 마련이 시급하다. 청년을 붙잡는 일이 지방소멸을 막는 가장 현실적인 해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