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인공지능, 현장 의견 반영한 제도 개선 본격 추진

2025-05-23     이현정 기자
보건복지부 전경

정부가 의료 인공지능(AI) 기술의 임상 적용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3일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을 방문해 의료진과 업계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의료 AI 기술의 현황과 제도 개선 과제를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생성형 AI의 등장 이후 가속화되는 의료기술의 변화에 대응하고, 필수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한 의료 AI 연구개발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정부는 응급의료, 중환자진료, 병리진단 등에서 AI 기술이 의료진의 부담을 줄이고 병원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수단이 될 것으로 보고 관련 투자를 지속 확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9월 '의료 인공지능 연구개발 로드맵'을 수립해 AI 기반 의료기술의 상용화 확대, 기술격차 단축, 연구개발 투자 강화 등을 중점 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이 로드맵에 따라 정부는 2028년까지 의료 AI 기술의 사업화를 2배 이상 확대하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1년 이상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서울아산병원 연구진 외에도 ㈜뷰노, ㈜코어라인소프트 등 의료 AI 개발기업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의료정보원 관계자들이 참석해, 의료 인공지능 개발과 임상 적용 과정에서 마주하는 현실적인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제도 개선과 데이터 인프라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주요 추진 과제로 응급실 특화 AI 모델, 암 유전자 패널 기반 임상의사결정 지원시스템, 생성형 AI를 활용한 환자-의료진 소통 기술 개발을 선정했다. 아울러 AI 기반 디지털치료기기, 수술로봇, 신약개발에서의 AI 적용 등 첨단 분야로의 확장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의료 AI 개발을 위한 고품질 데이터 확보를 위해 공공기관과 의료기관 데이터를 메타데이터 기반으로 연계하는 통합 플랫폼을 내년부터 구축하고, 상호운용성이 보장된 데이터 생성을 지원할 방침이다.

박민수 제2차관은 "AI는 복잡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환자 중심의 치료를 구현하는 데 있어 의료시스템 전반의 변화를 이끄는 동력"이라며 "정부는 연구개발 투자, 실증 사업화, 데이터 활용 등 전방위적인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의료계에서는 이번 현장 간담회가 의료 AI 활성화를 위한 정부-현장 간 소통의 물꼬를 튼 계기로 평가하고 있으며, 기술이 실제 의료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실효성 있는 지원책 마련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