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하사고 91%가 하수관 탓…대전시, 사각지대 없는 정밀 점검 착수
대전시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지반침하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정밀 탐사와 관로 정비를 병행하는 선제적 안전관리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 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대전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는 총 32건이며, 이 가운데 29건이 노후 하수관 파손에 따른 것으로 전체의 91%를 차지했다.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시는 사고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단기·중장기 대책을 병행하기로 했다.
단기적으로는 오는 2025년 12월까지 하수관로 578km와 차량 통행량이 많은 지하차도 28km 구간에 대해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시는 총 14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으며, 추가로 인명피해 우려 지역과 대규모 공사장 주변을 대상으로 수시 탐사를 시행하기 위해 2025년 추경예산에 2억 원을 반영했다. 긴급 상황 발생 시 즉시 투입이 가능하도록 연간 단가 계약도 병행한다.
대전시는 민간 굴착공사에 대해서도 GPR 탐사를 의무화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대규모 굴착공사 인허가 시 착공 전, 시공 중, 준공 전, 우기 전후 등 연 2회 이상 탐사를 조건으로 부과하며, 이를 통해 민간 책임을 강화하고 사전 예방 체계를 제도화한다. 이 같은 조치는 타 도시에서 발생한 대형 지반침하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교훈으로 해석된다.
중장기적으로는 2026년부터 2043억 원을 투입해 노후 상·하수관로 298km를 순차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시는 지반침하의 구조적 원인인 노후관 정비를 통해 시민안전을 근본적으로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지반침하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과 복구를 위해 시는 전문가 인력풀 형태의 지반침하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 중이며, 구청·시청·국토교통부 등과 협업해 구조·복구·조사까지 가능한 대응체계도 갖추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반침하를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위험 요소로 규정하고, "보이지 않는 위험을 사전에 탐지하고 제거하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며 시민들에게 도로 꺼짐 등 이상 징후 발생 시 즉시 신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성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