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혁신위, 윤심 언급하며 당 지도부에 강력한 불출마 압박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은 15일 ‘윤심(尹心)’을 언급하며 당 지도부, 중진, 친윤계에 대한 거취 압박을 높였다.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을 강조하며 혁신위의 권고사항을 강력히 추진하고자 하는 의지를 밝혔다.
인 위원장은 YTN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에게 거침없이 얘기하기 위해 ‘뵙고 싶다’고 전달했다”며 “윤 대통령 측에서 ‘만남은 오해의 소지가 크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소신껏, 끝까지 다 해달라’는 신호가 왔다”고 전했다. 이는 대통령의 뜻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은 것으로, 혁신위의 활동에 대한 대통령의 지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번 발언은 장제원 의원, 김기현 대표 등 당내 주요 인사들에 대한 혁신위의 불출마 및 험지 출마 권고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 위원장은 “당과의 갈등도 있지만 결국은 우리 혁신안을 다 받아들일 것”이라며 혁신위의 의지를 피력했다.
이러한 인 위원장의 발언은 당 안에서 일종의 압박 전술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인 위원장이 ‘윤 대통령 측으로부터의 신호’를 언급한 것은 혁신위의 권고안이 대통령의 뜻과 일치한다는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관련해 국민의힘 관계자는 “인 위원장의 발언이 결국 대통령의 뜻과 같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 아니겠냐”고 언급했다.
인 위원장은 “친윤계 핵심인 장제원 의원과 김기현 대표 등에 대한 갈등이 커지는 상황에서 ‘우리 혁신안을 빨리 통과시켜라’고 당에 압박을 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김 대표를 포함한 당 지도부가 혁신위의 권고를 신속하게 실행해야 한다는 요구로, 당내에서의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혁신위 내부에서는 ‘조기 해체설’도 제기됐다. 오신환 혁신위원은 “혁신안을 당이 받아들이지 않을 때 조기 해체밖에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정제되지 않은 발언이 바람직하지 않다”며 혁신위를 비판하고, 총선 관련 결정권은 지도부에 있다고 강조했다.
혁신위 회의에서는 ‘원스트라이크 아웃’ 원칙도 논의됐다. 이는 지난 10년간 벌금 100만 원 이상을 선고받은 전과가 있는 경우 공천에서 배제하는 원칙이다. 이는 공천 도덕성 강화를 위한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인 위원장은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혁신위가 종료하기 전까지 공식 안건으로 당 최고위원회에 접수할 것”이라며 혁신위의 활동 계획을 밝혔다. 이는 혁신위의 권고사항이 단순한 제안에 그치지 않고, 당의 공식적인 의결 과정을 거칠 것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혁신위의 강력한 드라이브와 당 지도부의 대응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내부의 긴장과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으며, 당의 미래와 총선 전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