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유권자는 지역 비전을 묻는다

2025-05-19     세종일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제작된 이미지. 

지난 18일 진행된 제21대 대통령선거 첫 TV토론은 국민의 기대와 달리 충청권을 비롯한 지역 유권자들에겐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저성장 극복과 민생 경제 활성화', '트럼프 시대 통상 전략', '국가 경쟁력 강화'라는 중요한 주제들이 논의됐음에도,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핵심 가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특히 충청권 유권자들이 관심을 갖는 지역 맞춤형 전략은 후보들의 발언 속에서 자취를 감췄다.

대선 후보들의 지역 공약 부재는 충청권만의 문제가 아니다. 비수도권의 많은 유권자들이 자신의 삶과 직결된 지역 발전 전략에 귀를 기울이고 있지만, TV토론은 이런 갈증을 해소하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민주노동당 권영국 등 주요 4명의 후보는 커피 원가 논란과 탈원전 같은 국가적 이슈에만 집중했고, 지역 발전에 대한 비전은 제시하지 않았다.

물론 TV토론 형식상 모든 지역 이슈를 다루기 어렵다는 현실적 한계는 인정한다. 일부 후보들은 별도의 지역 순회 행사에서 충청권 관련 공약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재명 후보가 민주당 충청 지역 경선에서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을 약속하고, 자신을 '충청의 사위'로 소개하며 수도권 일극 체제 완화를 강조한 것은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 비전이 전국적 관심을 받는 TV토론에서 언급되지 않았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유권자는 단순한 지역 민원이 아닌, 국가 균형 발전이라는 큰 틀에서의 지역 전략을 원한다. 충청권 유권자들은 행정수도 이전의 완성, 지역 산업 육성, 교통 인프라 확충과 같은 구체적 비전을 기대하고 있다. 지역에 대한 관심이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정책으로 이어지길 바라는 것이다.

추후 대선 토론에서는 지역 균형 발전에 대한 비전이 중요한 의제로 다뤄져야 한다. 후보들은 국가적 과제와 지역 발전을 연계한 통합적 시각을 제시해야 하며, 유권자들은 이를 기준으로 후보의 자질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지역의 목소리를 외면한 정책은 온전한 국가 비전이 될 수 없다. 유권자는 지금, 진정한 지역 비전을 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