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모두채움·AI 상담 확대…종합소득세 신고 간소화

2025-04-28     이승현 기자
국세청 

국세청이 추진해 온 디지털 세정행정 전환이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부터 본격적으로 현실화되고 있다. 오는 5월 1일부터 시작되는 2024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에서는 AI 분석, 자동채움 서비스, 지능형 홈택스 시스템이 대거 적용되며 납세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국세청은 지난 2021년부터 디지털 기술을 국세행정에 접목하는 대대적인 혁신 작업을 추진해왔다. 특히 2024년에는 40년 만에 AI를 활용한 세무조사 대상자 선정 체계를 도입했으며, 2025년 현재는 빅데이터 기반 자동신고 서비스, AI 상담 서비스, 원클릭 신고 시스템 등이 본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올해 종합소득세 신고에서는 이런 디지털 전환의 결과물이 곳곳에서 확인된다. 홈택스와 손택스 시스템은 로그인만으로 개인 맞춤형 신고화면을 제공하며, 모두채움 안내문을 통해 수입금액과 예상 세액을 사전 안내하는 대상을 633만 명까지 확대했다. 환급이 예상되는 납세자 443만 명에게는 별도의 환급안내문이 제공되어 신고 과정을 최소화했다.

신고 편의성뿐만 아니라 신고 정확성도 크게 강화됐다. 인적공제 항목에 대한 사전 검증 기능이 신설돼, 부양가족 요건 미충족자나 소득 초과자를 공제 대상으로 잘못 입력하는 실수가 자동으로 차단된다. 이는 단순한 실수 방지를 넘어, 세정 투명성과 조세 정의 실현을 겨냥한 구조적 개선으로 평가된다.

이번 종합소득세 신고에서는 특별재난지역 납세자를 위한 직권 기한 연장 조치도 적용된다. 산불 피해자, 제주항공 사고 피해자, 수출 중소기업 등은 종합소득세와 개인지방소득세 납부기한이 9월 1일까지 연장된다. 이는 국세청이 디지털 기술뿐 아니라 세정서비스 전반에서 국민 신뢰 확보를 우선 과제로 삼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세청은 현재 디지털 세정 전환을 장기적 로드맵에 따라 추진 중이다. AI 기반 세무조사 체계는 2025년 4월 현재 법인 조사대상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2026년까지 이 비율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자동채움 신고 서비스는 전체 신고자의 약 75%가 이용하고 있으며, 모바일 기반 간편 신고 시스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체납관리 체계, 가상자산 과세 인프라 구축, 실시간 소득파악 인프라 도입 등도 국세청이 추진하는 주요 과제다. 이러한 디지털 혁신은 단순한 행정 자동화를 넘어, 사회안전망 강화와 조세정의 실현이라는 더 넓은 목표를 향하고 있다.

국세청 관계자는 "디지털 세정행정 전환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납세자의 삶을 바꾸는 변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첨단기술을 적극 활용해 투명하고 공정한 국세행정을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