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중심축 이동… 충청, 대선 핵심 변수 되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과 형사재판으로 시작된 정국의 격랑은 기존 질서의 해체를 촉발했고, 각 당의 경선 경쟁과 후보 이탈, 제3지대 움직임이 맞물리며 정치의 중심축도 흔들리고 있다. 이 혼란 속에서 충청권이 대선의 최대 승부처로 급부상하며, 주요 주자들의 지역 공약과 행보가 집중되고 있다.
충청권은 역대 선거에서 일관된 진영 지지 없이 정국 흐름과 후보 경쟁력에 따라 유동적으로 표심을 결정해왔다. 특히 대전은 '선거 풍향계'로 불리며 전국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상징적인 도시로 평가받는다. 유성구와 서구는 진보 성향이 강한 반면, 동구와 중구는 보수층의 결집도가 높은 편으로, 이러한 이질적 성향이 충청권 전체를 전략적 중요 지역으로 만든다. 특정 정당이 안정적으로 우위를 점하기 어려운 구조 속에서 충청권은 매 선거마다 핵심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왔다.
충청권 내에서의 주요 쟁점은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해왔다. 2000년대 초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중심 이슈였다면, 2010년대 이후에는 세종시 출범을 기점으로 행정수도 완성과 지역 발전 전략이 중심 의제로 자리 잡았다. 최근에는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 행정수도 기능 확대, 충청권 메가시티 구상 등 대형 프로젝트가 쟁점으로 부상하며, 충청권은 전국적 정치 어젠다의 중심에 위치하게 됐다. 특히 대전은 과학기술 기반 도시로서의 위상을 확대하며, 세종과의 상생 전략, 충남북의 산업구조 다변화와 함께 지역균형 발전 논의에 선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과학기술 투자 확대, 탄소중립 산업 육성, 국방산업 거점화 등 지역 특성과 연계된 공약들이 각 캠프에서 잇따라 제시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에너지고속도로' 구축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충청권을 제2의 반도체 산업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지역 산업과 청년 창업 활성화, 공공투자 확대를 통한 실질적 지원에 방점을 찍고 있다. 국민의힘 후보들은 경선 일정과 함께 충청권 조직 재정비와 지역 공약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조기 대선 정국에서 충청권은 민심의 향배에 따라 선거 판도를 좌우할 수 있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세종시의 행정수도 기능 강화와 대전의 과학수도 구상은 충청권의 정치적 비중을 높이는 흐름으로 해석된다. 지역균형발전, 수도권 집중 해소, 산업 재편과 같은 이슈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만큼, 충청권의 민심 변화는 향후 대선 전략에서 결정적인 고려 요소가 될 가능성이 크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