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위험 청년 찾는다…대전시, 조사 기간 확대·QR 방식 도입

2025-04-23     이성재 기자

대전시가 청년 고독사 고위험군 발굴 조사를 5월까지 연장한다. 보건복지부 공모사업에 전국에서 유일하게 5개 자치구 모두가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으나, 청년층 발굴률이 기대에 못 미쳐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이번 조사는 대전시가 지난 2월 수립한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에 따라 시행되는 것으로, 19~39세 청년 중 사회적 고립이나 심리적 위기에 놓인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굴해 맞춤형 지원으로 연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2~3월 중 시행된 기존 조사는 지역 통장을 활용한 방문 방식과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대상자에 대한 전화·문자 방식으로 이뤄졌지만, 1인 가구의 응답 기피나 콜포비아, 보이스피싱 우려 등으로 회신률이 저조했다.

이에 따라 대전시는 청년층의 디지털 친화적 특성에 주목해 QR코드를 통한 모바일 자가진단 설문을 도입했다. 응답자는 QR코드를 스캔해 접속한 링크에서 사회적 고립 상태를 묻는 문항과 개인정보 수집 동의 등 총 17개 문항을 작성하게 된다. 응답 결과는 점수에 따라 고위험군 또는 은둔형으로 분류되며, 고위험군으로 판단된 경우 자치구에서 사례 관리와 함께 심리·사회적 회복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가 연계된다.

시는 청년센터, 사회복지관, 원룸촌, 대학가 등 주요 거점에 QR코드가 포함된 홍보물을 배포하고,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를 활용한 디지털 홍보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대전시 김종민 복지국장은 "청년 고독사는 사회가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며 "보다 많은 청년이 고립과 단절 상태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발굴 조사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맞춤형 개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성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