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경남·울산 산불 피해 104천ha…산림청 "응급복구 총력"

2025-04-18     이현정 기자

경북·경남·울산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산림 피해 면적이 잠정 104천ha로 집계됐다. 산림청은 정밀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 같은 피해 규모를 발표하며, 최종 피해 면적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산불 피해 조사는 지자체가 1차 조사를 지난 3월 28일부터 4월 8일까지 실시한 뒤,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이 4월 9일부터 15일까지 지자체와 함께 2차 현장 확인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번 산불의 경우 강한 바람을 타고 비화가 확산되며 피해 지역이 급격히 넓어졌고, 산불 진화 이후 열에 의한 추가 고사까지 발생하면서 피해 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 잠정 피해 면적은 △경북 99,289ha(의성 28,853ha, 안동 26,709ha, 청송 20,655ha, 영양 6,864ha, 영덕 16,208ha), △경남 3,397ha(산청 2,403ha, 하동 994ha), △울산(울주) 1,190ha다. 산불 진화 당시 파악된 산불영향구역은 48천ha였으나, 이는 진화 전략 수립을 위한 헬기·드론 영상, 지상관측을 토대로 화선 경계를 표시한 구역으로, 복구를 위한 실제 피해 면적과는 산정 방식과 활용 목적이 다르다. 특히 이번 산불은 순간최대풍속 27m/s 이상의 태풍급 돌풍이 불어 강한 바람에 불길이 빠르게 지나간 지역은 화선이 형성되지 않아 영향구역에 포함되지 않았고, 강풍과 연무로 인해 화선 관측 장비 운용에도 어려움이 있었다는 설명이다.

산림청은 향후 유사한 초대형 산불에 대비해 고정익 항공기, 중·고고도 드론, 위성 영상 등을 활용한 2중·3중 화선 관측 체계를 관계부처와 협의해 구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산림청은 산불로 인한 산사태, 토사유출 등 2차 피해 우려가 있는 4,207개소에 대해 3월 28일부터 4월 11일까지 긴급 진단을 완료했다. 해당 지역에는 응급 복구를 시행하고, 생활권과 주요 시설물 주변의 피해목을 우선 제거할 방침이다. 복구 방식은 피해 정도에 따라 자연복원, 생태복원, 조림복원 등으로 구분해 적용하며, 생태계 건강성을 회복하고 임업인의 소득기반 재건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