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중소기업 밀집지역 위기 단계별 맞춤 지원 추진
충북도가 중소기업 밀집지역 119곳을 대상으로 정밀 경제 모니터링과 맞춤형 지원을 추진하며, 위기 상황에서는 선제 대응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이 사업은 경기 침체, 고용 위축, 생산성 저하 등 중소기업의 위기 징후를 조기에 포착하고, 신속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기업의 대응 역량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동시에 지역 경제의 안정성과 회복 탄력성을 강화할 전략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둔다.
2025년 사업비는 4억 4천만원으로, 국비와 도비가 50%씩 투입되며 충북테크노파크가 운영을 맡는다. 주요 사업 내용은 △데이터 기반 상시 모니터링 △온라인 실태조사 △현장 방문을 통한 심층 진단 △전문가 협의체 운영 등이다. 이를 통해 위기 징후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위기 단계로 분류된 지역 기업에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긴급 지원할 계획이다.
밀집지역 위기 징후 단계별 맞춤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양호' 단계에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 '주의' 단계로 분류되면 사업 다각화 컨설팅, 연구개발, 인력 양성, 사업화 지원, 수출 및 판로 지원, 고용 안정 지원 등을 제공한다. '심각' 단계로 올라가면 '주의' 단계에서 시행하는 지원에 더해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시·도지사에게 명단을 통보하고,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신청을 권고하는 등의 추가 조치가 이뤄진다.
기술 컨설팅, 제품 디자인 개선, 마케팅 지원, 사업화 연계 등 실질적인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이 마련되며, 올해는 16개 기업 이상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은행, 충북테크노파크, 지역 상공회의소 등 유관 기관과 협력해 자금·인력·판로 등 외부 지원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해 충북도는 18개 위기 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진행했으며, 이들 기업의 평균 매출은 전년 대비 4.1%, 고용은 3.3% 증가했다. 지원 기업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평균 91점을 기록하며 현장 체감 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충북도는 지역 경제의 핵심 기반인 중소기업 밀집지역의 위기 신호를 정량 지표만으로 포착하기 어려운 만큼, 실효성 있는 상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 이현정 기자